-
-
불황의 경제학
폴 크루그먼 지음, 안진환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15년 1월
평점 :
이 책은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보다 세계적인 금융위기를 정확하게 예견한 폴 크루그먼의 오래된(?) 작품이다.
우리나라도 비켜가지 못한, 아니 직격탄을 맞은 금융위기를 모두 잊지 못할 것이다.
바로 그 위기를 예견한 대단한 경제학자이다.
이 책은 그 당시의 상황을 예견한 책의 개정판이다.
경기의 사이클을 감안한다면-물론 일정하지도 않고, 누구나 그렇듯이 오지 않기를 바라지만- 슬슬 다가오는 불황이 절대로 남의 나라일로만 보이지는 않을 것이다.
작금의 경제상황을 보노라면 어쩌면 우리나라도 불황의 언저리에 한다리쯤은 걸친 것은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다.
그러하기에 이 책이 시사하는 바가 더 크게 다가온다.
지금 당장 한 가정의 생계를 책임지고 있고, 한 조직을 이끌고 가야 한다는 현실적인 이유로 너무 미시적인 것에 몰입하여 거시적인 것을 보지 못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는 순간에 그 생각을 정리할 수 있는 좋은 책을 만났다.
이제는 굳이 글로벌이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세계의 경제상황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책을 통해 지난 위기의 원인이 무엇이였는지, 각 나라는 그 위기를 헤쳐나가기 위해 어떤 조치를 취했는지, 그런 조치는 어떤 효과를 가져왔는지에 대해 설명해 주고 있다.
경재학자가 쓴 책이지만 신문에 나오는 경제용어를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쓰여졌다.
불황에 관한 이야기이지만 크루그먼만의 독특한 문체는 재미있게 읽을 수 있게 해준다.
혹자는 지나간 경제위기에 대한 이야기는 경제에 대한 지식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닌가라고 치부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역사를 배우고 중요시하는 이유를 무엇인가?
과거를 통해 우리의 현실을, 미래를 조금 더 좋게 만들려는 것이 아닌가..
더구나 그 경제위기를 정확하게 예견한 대학자의 책인데...
이 책도 바로 그런 관점에서 보면 좋을 듯 하다.
유비무환.
위기는 미리 준비하여 나쁠 것이 없다.
그리고 너무 미시적인 것에 매달려 거시적인 것을 보지 못하면 안된다.
나의 조그만 배를 조정하는데 몰두하여 폭포를 향해 나아가는 것은 아닌지 살피는 것을 잊으면 곤란하다.
지금의 경제 상황을 너무 비관적으로 보는 것은 좋지 않다.
그러나 근거없는 낙관론은 좋지 않은 정도로 끝나지 않을 것이다
현실적으로, 객관적으로 지금을 바라보고 나아갈 바를 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쉽지 않지만 이 책이 도움이 될 것이라는 사실은 분명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