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Book] 우동 한 그릇
구리 료헤이.다케모도 고노스케 지음, 최영혁 옮김 / 청조사 / 2015년 1월
평점 :
매일매일을 흔히 말하는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인생을 살고 있는 사람들..
과연 그들은 무엇을 위해 그렇게 살고 있을까?
모두들 자신이 원하는 그 '무엇'을 그토록 간절히 원하고 있는 것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것일까?
이 질문은 나도 쉽게 답하기 힘들다.
갑자기 왠 뜬금없는 질문이냐고?
그냥 이 책이 마지막 장을 넘기면서 문득 든 생각이다.
이 책은 두 개의 소설을 담고 있다.
이 책의 제목인 '우동 한 그릇'과 '마지막 손님'이다.
'우동 한 그릇'은 이전에 조금은 접했던 내용이다.
한 해의 마지막 날, 영업을 마칠 시간에 들어온 엄마와 아이들 두명.
들어와서 조심스럽게 '우동 한 그릇이 되나요?'라고 묻는다.
주인이 보니 그들의 행색이 그리 넉넉해 보이지 않는다.
흔쾌히 '되지요.'라고 답을 하고, 한 그릇 반의 분량을 담아서 내준다.
내가 아는 내용은 여기까지였다.
그런데, 이게 전부가 아니였다.
그 다음해에도 똑같이 방문하고, 같은 주문을 한다.
그리고, 주인은 같은 대접을 한다.
다음해에는 이인분을 주문한다.
어느해부터 찾아오지 않는 모자.
그러나 주인은 언제나 그 시간에는 그 자리를 비워두었고, 심지어 내부 리모델링을 했어도 그 테이블은 그대로 두었다.
그 테이블은 그 가게의 상징이 되었다.
그러던 어느 해 마지막 날, 노부인과 젊은 청년 둘이 방문을 한다.
그리고, 우동 3인분을 주문한다.
어릴 적 꼬마들은 의사, 은행원이 되어 어머니를 모시고 다시 방문한 것이다.
'마지막 손님'은 빵가게 근무하는 게이코의 이야기이다.
그녀는 형편이 어려워 학교에 진학하지 못하고, 어머니가 편찮으셔서 일하고 있는 소녀가장이다.
그렇지만 늘 긍정적인 마인드로 손님을 맞이하고자 한다.
어떻게 하면 더 편안하고, 즐겁게 손님을 모실 수 있을까를 고민한다.
그와 반대되는 이미지-무척 현실적인-로 나카가와가 등장한다.
더 이상은 스포일러일까..ㅎㅎ
두 이야기 모두 삭막한 삶을 살고 있다고 느끼는 독자들에게는 무척이나 따뜻한 울림을 준다.
분명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사회는 나카가와와 같은 인물이 보다 더 현실적이라는 느낌을 준다.
그러나....뭔가 허전하고, 아쉽다고 느끼는 것은 나뿐일까..
왜 우리는 우동가게의 주인이나, 게이코처럼 할 수 없을까..
그냥 감정적으로 울컥할 것에 그칠 것이 아니라, 나부터 변화를 줄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