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받을 용기 - 모두에게 사랑받을 필요는 없다
이승민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4년 11월
평점 :
품절


사람은 누구나 인정을 받고 싶어한다. 아는 사람이든, 모르는 사람이든..

'잘했어','멋져','이뻐','최고야' 등..
그런 인정이 보다 더 나은 나를 만들기 위한 노력으로 이어진다.
이런 좋은 점도 있는 반면에, 그와 상반된 평가는 큰 부작용으로 다가온다.
무언가를 더 많이, 더 잘 해야 할 것 같이 만든다.
그것이 바로 스트레스로 이어진다.
그리고, 이런 '관계'에 대한 것이 스트레스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 책은 바로 이런 '관계의 스트레스'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누군가의 비난, 비평, 무시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싶지 않은가?
물론, 객관적인 잘못이나 실수로 인한 비난이나 질책은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것들에 대해서는 과감히 차단을 할 줄 알아야 한다.
그것이 바로 '상처받을 용기'이다.
그것이 두려워 '보다 더 많이', '보다 더 잘'하려는 것이 자기 자신을 망쳐버릴 수 있다.

저자는 많은 상담을 통해 이런 인간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덜어주고자 이 책을 출간했다.
이 책의 내용은 아주 담백하다.
스스로를 평가했을 때,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부도덕하지 않은 일에 대한 비난이나 비평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No'라고 거절하라는 것이다.
스스로를 사랑하고, 그런 자존감을 바탕으로 남에게 어떻게 보여지는가에 대해서 대범해지라고 말하고 있다.
누군가에게 인정을 받기 위해 노력하기 보다, 자기 스스로가 만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런 노력의 바탕위에 남을 사랑할 수도, 남에게 사랑받을 수도 있다.
지나친 나르시스트는 문제가 될 수 있지만, 적당한 나르시스트는 자신감을 나타낸다.
'이 세상의 중심은 나'라는 말은 결코 객관화 될 수 없는 주관적인 객체이기에 당연한 말이다.

저자의 말대로 '모든 사람'에게서 사랑받을 수 없다.
아무리 유명한 배우나 가수라 할지라도 모든이에게 사랑받는 이는 없다.
적어도 미워하는 사람보다 사랑하는 사람이 한 명이라도 더 많다면 괜찮은 인생 아니겠는가?

나를 모르는, 그리 친하지 않은 많은 사람들에게 인정받기 위해 노력하기 보다는 내가 아끼고 사랑하는 소수의 사람들에게 인정받기 위해 노력하자.
그것이 자신을 위해서,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가장 좋은 선택이다.
너무 많은, 좋지 않은 인간관계에 지친 사람들에게 아주 큰 힘을 줄 수 있는 책이다.
연말연시, 잦은 송년회가 부담된다면 한번쯤은 빠지고 이 책을 보는 것이 훨씬 더 좋은 송년을 보내는 방법이 아닐까란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