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관의 재발견 - 기적 같은 변화를 불러오는 작은 습관의 힘
스티븐 기즈 지음, 구세희 엮음 / 비즈니스북스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나 좋은 습관을 갖길 원하고, 나쁜 습관을 버리길 바란다.

하지만, 대부분 주지하다시피 좋은 습관이란 것은 우리의 몸과 마음이 거부하는 것들이고, 나쁜 습관이란 것들은 아주 간절히 바라는 것들이다.
예를 들자면, 운동하기, 책보기 등은 거부하고, 흡연이나 잠자기는 원하는 것들이다.
대부분의 책에서는 이 모든 것들이 '의지'와 관련되어 있는 것이라고 한다.
맞다.
몸이란 것이 우리가 어떻게 생각하고,결정하느냐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니까..
그러나, 말처럼 쉽다면 이렇게 많은 습관과 관련된 책은 필요가 없을 것이다.

저자는 습관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설명해 준다.
지금까지 우리가 좋은 습관을 들이지 못한 이유는 의지 박약의 문제가 아니라 그 '방법'에 문제가 있었다는 아주 멋진 말을 해 준다. ㅎㅎ
지금과 같은 연말이면, 올 한 해를 정리하고, 내년에는 보다 나은 자신이 되고자 멋진 계획을 세운다.
몸짱되기, 책 100권 읽기, 자기 분야의 업무 스킬 업하기 등...
그러나, 이런 무리한(?) 계획 자체가 그 목표를 이루는 방해가 된다고 말한다.

몸짱이 되고 싶다면, 지금 당장 단 한 번의 팔굽혀펴기와 윗몸 일으키기를 해라.
실제로 저자는 단 한 번의 팔굽혀 펴기를 '골든 푸시업'이라고 말하고 있다.
어쩌면 몸짱이 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단 한 번의 팔굽혀펴기가 '조금 더 할까'란 의욕을 불러 일으키고, 그 의욕이 안생기더라도 '오늘도 해냈다'라는 성취감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이렇게 하루하루를 지내다보면, 작은 성취감이 보다 더 큰 성취감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도전욕구를 불러일으키고, 그것은 다른 부분까지 더 좋게 만드는 파급효과를 일으킨다.
저자는 나쁜 습관을 버리는 방법으로는 자신의 방법이 그리 적당하지 않다고 말하지만, 나쁜 방법 또한 마찬가지로 하나씩 덜 하도록 노력한다면 언젠가는 모두 없앨 수 있지 않을까?

작게 시작하라.
저자가 말하는 좋은 습관을 들이는 방법이다.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라는 말은 알아도, 실천은 그리 하지 못한 듯 하다.
단 한 번의 운동으로 몸짱이 되길 원하고, 단 한 번의 노력으로 성과를 내길 원한 것은 아닌지...

저자는 자신의 변화를 통해 그 성과를 직접 보여주고 있다.
이제는 우리가 그 주인공이 될 차례이다.
연말연시에 내년에는 보다 자신을 만들 수 있는 아주 작고, 쉬운, 결코 포기하기 힘든 일을 시작하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