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 입은 남자
이상훈 지음 / 박하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루벤스의 '한복입은 남자'는 교과서를 통해서 처음 접했다.

서양화가가 그린 최초의 그림이라고 '교과서적'으로 인식했을 뿐, 그에 대한 어떠한 궁금증도 없었음을 솔직히 고백한다.

저자는 영화 작업 중 조선왕조실록에서 조선 최고의 과학자인 장영실에 대한 노후의 기록이 부실함을 알고 그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고자 이 책을 썼다.
10년이라는 오랜 기간동안 동,서양에 대한 옷, 항해, 인물, 역사 등에 대한 철저한 고증을 통해 이 책은 '어쩌면 사실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게 만들 정도로 스토리가 탄탄하다.
픽션과 논픽션을 자유자재로 넘나드는 저자의 필력은 정말 한 눈에 반하게 만든다.
무려 500페이지가 넘는 상당한 양의 소설이지만, 정말 한순간에 푹~ 빠져서 쉴새없이 다음 페이지를 넘기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다.

진석이 다큐멘터리를 만들기 위해 방문한 박물관에서 본 비차는 우리의 것임에도 다 빈치의 그것과 무척이나 흡사했다.
그것을 함께 지켜보는 이가 있었으니, 이탈리아에서 교환학생으로 온 엘레나 꼬레아.
그녀는 자신을 미행하고 있는 사람들을 피해 진석에게 그녀 집안에서 대대로 물려온 책자를 하나 건넨다.
그것이 가져오는 멋진 대항해가 시작된다..
더 이상을 언급한다면 스포일러가 될 듯 하다.
그러나, 자신있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다빈치 코드'보다 더 스팩터클하고, 더 흥미진진하다는 것이다.

장영실과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만남..
정말 상상만 해도 멋지다.
이런 만남이 있었다면, 정말 세계사가 바뀌어야 할 것이다.
이런 만남을 생각한 저자의 상상력은 정말이지...멋지다~~

한국과 중국, 아프리카를 건너 유럽의 이탈리아를 넘나들고, 장영실, 레오나르도 다 빈치, 교황, 세종...
장소도 등장인물들도 정말 출중하다. ㅎㅎㅎ
영화로 만들어져도 굉장히 재미있을 듯 하다.

이 책으로 '단지' 조선 최고의 과학자로 알려진 '장영실'에 대한 가치를 새로이 평가하고, 우리의 문화와  과학에 대한 자부심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멋진 영화를 본 기분을 맛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