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일의 경제 - 복잡계 과학이 다시 만드는 경제학의 미래
마크 뷰캐넌 지음, 이효석.정형채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14년 10월
평점 :
이 책은 저자의 전작인 '사회적 원자'를 통해 많은 것을 배웠기에 주저없이 선택하였다.
전작이 사회 전반의 모든 것에 대해 다루었다고 하면, 이 책은 제목에 있는바와 같이 '경제'에 집중한 책이다.
물리학자가 바라본 경제는 어떤 모습일까?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저자는 경제 또한 또 하나의 프랙털한 복잡계 구조라고 보고 있다.
경제와 일기예보에 대한 비유는 아주 적절한 표현인 듯 하다.
경제학에 대한 흐름을 자세히 관찰하면 저자의 분석이 아주 적절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전과 달리 세계의 각 나라간의 간격이 점점 가까워지고-물리적으로 말하는 것이 아님을 알 것이다-, 정보가 점점 많아지면서 경제를 좌지우지할 수 있는 요소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미국 연방은행준비제도 이사회의 안건은 물론이고, 저 멀리 아프리카의 내전 또한 국내 경기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하다.
그렇기에 경제에 대해서 아주 많은, 그리고 다양한 예측들을 하고 있다.
그리고, 그 예측이 맞으면 다행이고, 틀려도 어쩔 수 없다라는 것이 현 경제학의 실정이다.
다만, 왜 틀렸는지, 무엇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후행적 연구는 무척 활발하다.
이것은 경제학의 태생적 한계이고, 앞으로도 영원히 극복하지 못할 숙제일 듯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그토록 우리는 '예측'을 하려는 것일까?
예측에 따른 급부가 막대한 경제적 이익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기상학의 발달을 현 경제학의 미스매칭을 타계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상학과는 달리 경제에는 고려해야 할 변수가 무척이나 많고, 다양하기에 적절한가하는 의문이 든다.
과학의 발달로 더 많은 변수와 그 영향을 수치화하여 분석이 가능하겠지만, 기상과 달리 경제에는 거의 예측하기 힘든, 그러면서도 아주 막강한 변수가 하나 있다.
바로, '인간의 심리'이다.
과학의 발달은 분명 경제학에도 많은 긍정적 영향을 주었고, 앞으로도 줄 것이지만 과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경제적 변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 책으로 현 경제학의 문제점과 자본주의의 특성에 대해서 더 많이 알았지만, 그에 대한 대응방법으로는 그리 만족할만한 답을 듣지 못한 것 같다.
하긴, 그런 답을 찾을 수 있다면 그 값어치는 어마어마할 것이고, 이렇게 책으로 나오지도 않을 것이다. ㅎㅎ
어쩌면, "경제는 '예측'이 아닌, '대응'이다"라는 말이 아직은 진리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더 깊게 드는 시간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