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원하는 삶을 살 것인가 - 불멸의 인생 멘토 공자, 내 안의 지혜를 깨우다
우간린 지음, 임대근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우리가 원하는 삶은 어떤 삶인가?

돈이 많은? 명성이 높은? 건강한? 행복한?
이 모든 것을 가지고 있다면 당신은 정말 행운아이다.
분명 당신만의 뚜렷한 삶의 기준이 있을 것이고, 그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하루하루를 성실히 살아가고 있는 사람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무언가 하나쯤은 부족-절대적 기준이 아닌 상대적 기준-을 느끼고, 그 부족을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책은 공자에 관한 책이다.
맞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그 공자이다.
공자라고 하면 '논어'가 떠오르지만, 이 책은 아주 독특한 방식으로 공자를 우리 곁에 다가오게 한다.
바로 공자의 제자 중의 한 명인 자공의 눈으로 본 공자를 그렸다.
논어의 대부분은 '공자 왈'로 시작된다.
즉, 공자가 직접 책을 만든 것이 아니라, 어떤 사건이나 토론 중에 발생하는 공자의 말씀을 그의 제자들이 주제별로 나누어 옮겨놓은 것이 논어이다.
그런 논어를 조금은 더 재미있는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전후 사건이나 대화와 연결하여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기에 더욱 친밀하고, 가깝게 느껴진다.

유교도 하나의 학문이고, 철학이다.
누구나 한번쯤은 고민할-그 옛날에도, 지금도-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 대한 하나의 해답이다.
이 책은 10개의 장으로 형식적으로 나누어져 있지만, 사실 인생이란 것이 두부로 칼 자르듯 '이것은 여기까지이고, 저것은 저기까지이다'라고 할 수 없기에 큰 맥락에서 보면 결국은 하나이다.

그동안 공자의 책들은 '공자 왈'로 시작되거나, 어려운 말들이 많아 조금은 이해를 하기 힘들거나, 어려웠는데 이 책은 정말 편하게 다가온다.
무엇보다 그동안 공자라고 하면 학당에서 책만 보고, 토론만 할 것 같은 이미지였는데, 자신이 배우고 익힌 것을 몸소 실천한 아주 적극적인 행동가라는 것을 알았다.
그가 주장하는 모든 것의 근본에는 바로 우리 '인간'이 있었다.
인간중심적인 사고와 행동양식을 강조했고, 법보다는 도덕을 중시하였다.
인간에 대한 사랑을 바탕으로 두었기에, 결과가 아닌 과정도 중시되었고, 같은 과정이라 할지라도 결과가 달라지기도 한다.
결과 중심적인 사고방식으로는 공자를 통해 무엇이 옳고 그른가를 판단하기가 힘들 수도 있다.
그러나, 인간 중심적인 사고방식으로는 그 모든 것이 이해된다.
그 무엇보다 우선되는 것이 바로 우리 자신, 인간임을 깨우칠 수 있다면 공자의 사상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고, 그 사상을 행동으로 옮길 수 있다면 매우 훌륭한 사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