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다움 - 인간다운 삶을 지탱하는 3가지 기준
김기현 지음 / 21세기북스 / 2023년 11월
평점 :
우리 모두는 인간입니다.
‘인간답다’라는 말은 당연한 것이죠.
하지만 실제로는 칭찬과 격려의 의미로 쓰이고 있습니다.
인간다운 것이 무엇일까요?
인간답다는 것이 시대별로 특징이 있다면 이상할까요?
그런데, 그렇네요.
이 책은 시대별로 이상적인 안간에 대한 특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선사시대부터 고대, 중세, 현대, 그리고 미래의 인간상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인간다움을 구성하는 요소로 공감, 이성, 자유를 꼽고 있습니다.
인간은 자시만이 아닌 타인의 정서에 감정을 이입할 수 있어야 합니다.
타인의 아픔을 보고 같이 아파하고, 기쁨에 함께 기뻐합니다.
하지만 본능과 감정이 아닌 이성에 기반해야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외부의 간섭없이 자신의 의지로 생각하고 행동해야 합니다.
이것이 인간다움의 조건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태초 인류의 탄생에서부터 지금까지 이 3가지는 시대의 분위기에 따라 강조되는 것이 달랐습니다.
공감을 중요하게 여긴 시대가 있었고, 이성을 중요하게 생각한 시대가 있었습니다.
각각에 대해서는 철학적 사조를 떠올려보면 특징을 잘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개인의 자유는 비교적 최근에 중요성이 강조되었습니다.
어쩌면 당연하게 생각되는 인간다움이라는 주제를 역사와 결부시켜 설명하는 것이 무척 흥미롭네요.
서양의 역사로만 설명하고 있다는 것은 조금 아쉬움이 드네요.
짧은 지식이지만 동양의 역사를 떠올려보면 서양과는 다른 형태의 인간다움을 보여줄 것 같습니다.
인간다움에 대한 탐구는 결국 ‘나는 누구인가’로 마무리됩니다.
기술의 발전은 인간에게 편안함과 자유로움을 선물합니다.
인간 본연의 개성보다는 기술의 편리함과 유익함을 강조하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미래의 인간다움은 어떤 모습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