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탄력성 (15만부 기념 리커버) -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마음 근력의 힘
김주환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회복탄력성’이란 용어는 많이 들어왔지만 그에 대한 정확한 개념은 알지 못했다.
고무공, 실패나 좌절에서 벗어나는 힘.
개략적으로 알고 있는 회복탄력성에 대한 내용이였다.
이 책을 보면서 회복탄력성에 대해 내가 조금 오해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회복탄력성이란 무엇인가?
회복탄력성은 자신에게 닥치는 온갖 역경과 어려움을 오히려 도약의 발판으로 삼는 힘이다.
단순히 역경과 어려움을 이겨내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발판으로 도약하는 것이다.
실패가 아니라 성공으로 가는 과정이고, 그 힘을 더 강하게 만들어 주는 원동력이다.



실패에 대한 어떠한 두려움도 없는 상태.
이 두려움으로 새로운 무언가에 도전하기를 어려워하고 현재에 안주하는 것은 아닐까.
지금의 나는 많은 도전의 결과로 이루어짐을 알고 있음에도 도전에 대한 두려움을 떨칠 수 없다.
실패로 인해 잃을 것이 얻을 것보다 더 클까?

반드시 이뤄내겠다는 집념.
회복탄력성에 대해 나도 오해한 내용이다.
성공에 대한 집념이 아니라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떨치는 것, 그것이 회복탄력성이다.


역경에 대한 관점을 바꿔야 한다.
역경은 어떤 어려움에도 이겨내야 할 대상이 아니라, 나를 더 성장시켜 줄 수 있는 기회로 봐야 한다.
이것이 회복탄력성을 키우는 것이고, 도전에 대한 두려움을 떨칠 수 있게 만들 것이다.

회복탄력성은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고 그 환경을 스스로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이용하는 인간의 총체적 능력이라 할 수 있다.
학자들은 회복탄력성의 핵심이 결함이나 약점이 없는 것에 있다고 보지 않는다.
그보다는 변화하는 상황에 알맞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이 회복탄력성의 핵심이다.
회복탄력성이 필요한 이유를 잘 설명하고 있다.
회복탄력성은 모든 것을 이룰 수 있게 하는 힘이 아니라, 어떤 상황이나 변화에도 대처할 수 있는 힘이다.
물고기가 아니라 물고기를 잡는 법을 알려주는 힘이다.


회복탄력성을 기르기 위해 필요한 것은 ‘자기 조절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다.
나를 다스리고, 타인과의 관계를 좋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누군가 나에게 절대적인 지지를 보내고 있다면 절로 힘이 날 것이다.
마찬가지로 누군가에게 힘을 주고 싶다면 절대적인 지지를 보내면 된다.


회복탄력성에 필요한 것이 긍정적 정서 향상이다.
그렇다면 긍정적 정서 향상을 키울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저자는 ‘감사하기'와 ‘운동하기'를 말하고 잇다.
이 둘을 통해 긍정적인 마인드를 키울 수 있다고 한다.
운동, 공부 등 많은 새해 계획들이 있을 것이다.
운동으로 건강도 챙기고 회복탄력성이 키우고, 일석이조의 효과를 노릴 수 있을 것 같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