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의 라이프스타일을 사겠습니다 - 자신과 고객 모두가 행복해지는 나만의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를 만드는 법
최태원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2년 11월
평점 :
사회가 발전하면서 고객의 요구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모두가 좋아하는 것을 사는 것이 아니라, 내가 좋아하는 것을 구매한다.
필수품이 아니라면 자신만의 개성과 특색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을 선호하고 있다.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는 바로 이것에 주목하고 있다.
이 책은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에 대해 말하고 있다.
저자는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를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다.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는 ‘나로 살며, 나를 파는 비즈니스'다.
여기에는 남들이 강요하는 속도가 아닌 자기만의 삶의 속도가 담겨 있고 자기 성격, 재능, 경험, 가치관, 이상, 사명이 자연스럽게 녹아든다.
비즈니스의 가장 기본적인 사항 중 하나는 ‘판매'이다.
판매가 기본이기에 내가 좋아하는 것보다는 남들이 좋아하는 것에 주목하고 집중해 왔다.
하지만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는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하고, 만들어서 판매한다.
기호, 취향이 같은 사람만이 공감할 수 있는 것이다.
대중적이지 않기에 그동안은 개인적인 취미나 소일거리로 취급받아왔다.
하지만 이제는 당당한 비즈니스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는 위와 같은 특성으로 인해 대중적이라고 할 수없다.
그럼에도 비즈니스화 할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열렬한 팬을 보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남들과 다른, 그리고 분명한 색깔을 보여주고 있기에 기호가 맞는 팬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을 수 있다.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는 푸시의 방식으로 고객을 밀어붙이지 않는다.
고객이 비즈니스와 브랜드의 매력에 끌려오게 하는 풀의 방식으로 고객에게 접근한다.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는 새로운 고객보다 이미 끌려온 고객에게 더 정성을 기울이고, 이들이 영업사원이나 마케터가 되도록 한다.
이것이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의 특징이다.
기존의 영업방식이 대규모의 광고나 마케팅을 통한 푸시의 방식이였다면,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는 고객들이 영업사원이 되는 풀의 방식이다.
그들의 입소문을 통해 더 많은 충성고객을 불러 모으는 것이다.
위의 그림은 저자가 말하는 라이프스타일을 구성하는 요소들이다.
구성요소만을 본다면 일반 비즈니스와 큰 차이가 없어 보인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구성요소가 아니라, 그것에 내재되어 있는 ‘라이프스타일'이다.
모두에게 힙한 패션을 좋아하지도 않고, 모두가 트로트에 열광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각각 자신만의 확실한 비즈니스 영역을 가지고 있다.
책의 뒷부분에서는 비즈니스화 하는 방법들도 소개하고 있다.
작고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 ‘린'방식을 다양하게 접목하고 있는 것이 눈길을 끈다.
무엇보다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를 전개하고 있는 다양한 비즈니스 형태의 소개와 사진이 인상적이다.
그것들을 보며 나만의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를 꿈꿔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