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을 바꾸는 관계의 힘 - 예일대 비즈니스 스쿨 15년 연속 최고의 명강의
마리사 킹 지음, 정미나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이 말은 인간의 특징을 가장 잘 표현한 문장 중 하나이다.
사회를 이룬다는 것은 함께 어울려 산다는 것이고 이는 곧 ‘관계를 맺는다'는 뜻이다.
누구나 좋은 관계만을 갖길 원하지만, 그렇지 않은 관계도 있다.


이 책은 다양한 연구와 실험을 통해 ‘관계'가 무엇인지, 어떻게 형성해야 하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저자는 관계의 여러 유형을 크게 아래의 3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마당발형, 중개자형, 소집자형.
마당발형의 특징은 자신을 중심으로 특정인들과 직접 연결하는 것이고,
중개자형은 특정 그룹과 자신이 연결되는 것이다.
소집자형은 자신이 중심이 아니라 지인들끼리도 모두 연결되는 복합적인 구조이다.
자신의 인간관계를 보면 이 3가지 특징을 골고루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자신이 원해서 특정 유형의 관계를 만들기도 하갰지만, 자연스럽게 특정 유형의 관계가 형성되기도 한다.

저자는 3가지 유형의 특징과 장점, 그리고 그 형성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자신의 필요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달라져야 한다.
성공한 이들은 이 3가지 유형을 적절히 잘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책을 보면서 나의 인맥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학연, 혈연은 당연히 소집자형이고, 몇몇 켜뮤니티는 중개자형을 띄고 있다.
개인적인 취미나 만남은 마당발형인데, 이를 중개자형이나 소집자형으로 바꾸면 더욱 좋은 효과가 나타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특정 유형을 생각하면서 인간관계를 맺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기왕 맺은 인연이라면 서로가 서로에게 도움을 주는 관계가 되었으면 한다.
이것이 바로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사회적 인간의 올바른 정의가 아닐까 싶다.

그 사람을 통하면 뭐든지 해결될 것 같은 사람이 있는가?
그는 어떻게 그런 인간관계를 만들게 유지할 수 있었을까?
가만히 생각해 보니 책에서 말한 3가지 유형을 적절히 잘 사용한 것 같다.
누군가 이용하기 위함이 아니라 누군가를 더 잘 도와주기 위해 적절한 관계 유형을 적용하면 좋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