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항의 기술 - 물러서지 않는 프로불평러의
러비 아자이 존스 지음, 김재경 옮김 / 온워드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반항의 기술?
제목만 보면 왠지 불량스러워 보입니다.
하지만 이 책은 결코 불량스럽지 않습니다.
나를 자신있고, 당당하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저자는 TED 강연을 통해 ‘프로불평러'가 되라고 했다.
그에 대한 호응과 질문은 이 책을 쓰는 동기가 됐다.

그럼, 무엇에 대해 프로답게 불평해야 하는가?
내가 원하는 것에 반하는 모든 것에 불평해야 한다.
아닌 것은 아니라고, 맞는 것은 맞다고 ‘당당'하게 말해야 한다.
그것이 저자가 말하는 불평이다.

조금 못났으면 못난대로, 잘났으면 잘난대로 말하라.
그것이 ‘나’이다.
이런 나를 숨기고 아닌척 하는 것을 그만하라.

삶이라는 여정을 되돌아보면서 깨달은 점 한 가지는 내가 두려움에 맞서 싸우지 않았다면 
결코 내 삶을 변화시킬 수 없었으리라는 사실이다.
두려움 뿐만 아니라 호기심도 마찬가지이다.
변화를 위해서가 아니라 나답게 살기 위해 그래야 한다.
그리고 그 두려움은 누가 주는 것인가?
아마 대부분은 스스로 ‘만들어낸' 것이다.
존재하지 않는 것을 왜 두려워하고 피해야 하는가?
그럴 필요도 없고, 그럴 수도 없지 않을까?


갈등을 피하기 위한 방법은 참는 것이 아니다.
위의 3가지 질문에 ‘예'라고 답할 수 있다면 해야 한다.
비록 갈등이 생길지도 모르나, 진심이고, 상대방에 대한 존중이 있다면 언젠가는 풀어질 것이다.


실패가 소중한 이유는 그 실패를 통해 ‘배움'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배움이 없는 실패는 그냥 실패한 것이다.
실패를 결과가 아닌 과정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그것을 통해 얻는 것이 있어야 한다.
얻는 것이 있다면 실패가 결코 두렵거나 피해야 할 것이 아님을 알게 될 것이다.


내가 원하는 것, 아무 생각없이 청한 적이 언제였던가?
아이들은 이렇게 한다.
하지만 어른들은 이러지 못한다.
왜?
거부에 대한 두려움, 창피함, 혹은 지례짐작으로 거부할 것이라는 근거없는 확신.
터무니 없는 것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면 과감하게 말해야 한다.
거부했을 때 잃을 것이 없는데 왜 도전하지 않는가?
특히 거부에 대한 근거없는 확신은 반드시 피해야 할 것이다.

대담하게 꿈꾸고 당당하게 바라자.
때로는 온 세상이 그 바람을 두 배, 세 배로 부풀려줄 것이며 세상에 그만한 깜짝 선물이 없다.
최악의 순간조차 우리에게는 더 나은 미래가 오리라는 희망만이 남아 있을 것이다.
‘혹시'하는 마음으로 도전했는데 ‘역시'란 결과를 얻은 적이 없는가?
이건 행운이 아니다.
도전했기에 그에 대한 합당한 결과로 얻은 것이다.
당연한 것은 아니지만, 도전이 없었다면 결코 얻지 못할 결과이다.

“불편해 하는 것에 익숙해지세요"
책 소개에 있는 글입니다.
불편에 익숙해지기 위해서는 그 불편을 극복하고 새로움에 도전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 용기는 누구도 아닌 자신만이 줄 수 있습니다.
불편에 익숙해지면 더 나은 생활을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