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하지 않습니다 - 내 말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과 웃으면서 소통하고 해결책을 찾는 법
마이클 브라운 지음, 윤동준 옮김 / 알파미디어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갈등이 없으면 발전이 없다.
하지만 지나친 갈등은 사회적으로 문제가 된다.
이 갈등을 얼마나 잘 해소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



이 책은 갈등을 ‘진화론'의 관점에서 바라본다.
성선설, 성악설처럼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갈등과 마주하며 살아가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이런 갈등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는데, 바로 말콤 글레드웰의 ‘1만 시간의 법칙'으로 설명하고 있다.
인간은 여덟 살이 되기 전에 89000번 이상을 다툰다고 한다.
이런 다툼을 통해 협상과 타협, 혹은 강압을 배운다고 한다.
1만 시간의 경험을 통해 갈등에 대한 자신만의 노하우를 갖는다는 것이다.
이는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절대적인 방법이 아니라 봉합하기 위한 임시 방편책이다.

그렇다면 해결방법은 없을까?
아래와 같은 5가지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자신의 주장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들을 모으고, 이에 동조하는 사람들을 찾는다.
상대방의 입장에서 봤을 때 불합리한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그에 대한 적합한 방법을 찾는다.
무엇보다 ‘내’가 아닌 ‘우리'라는 입장에서 ‘함께'라는 의식을 심어줄 수 있어야 한다.

분명 우리는 누군가의 세계관에 동의하지 못할 것이다.
하지만 생각이 다르다고 누군가와 이야기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누군가의 신념에 동의하지 않아도 괜찮다.
바로 그런 모습이 정상적인 인간의 소통이다.
관건은 다른 의견을 어떻게 제시하는지, 그 다름을 어떻게 해결하는지이다.
핵심은 바로 이것이다.
의견을 다를 수 밖에 없고, 이 다름을 어떻게 해결하느냐가 중요한 것이다.
그것은 논리적인 설명일 수도 있고, 감정에 호소할 필요도 있다.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접목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대방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브랫 그렐리어 박사는 누군가와 처음으로 만날 때 바로 미소 짓지 않는 것이 여러 상황에서 유용하다고 말한다.
국제 외교나 사업상의 미팅에서 개인적 상호작용의 초기 단계일 때 자신의 모습을 느끼면서 몇 분 정도 시간을 보내는 것도 좋다고 생각한다.
‘골디락스 접근법'을 말하고 있다.
골디락스란 말처럼 너무 뜨겁지도, 너무 차갑지도 않은 상태이다.
보통 첫인상에서는 미소짓는 밝은 얼굴을 하라고 한다.
하지만 저자는 오히려 그것이 좋지 않을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 이유는 처음부터 밝은 인상을 주었을 때 그보다 더 적극적인 표현이 어렵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첫인상은 최고의 밝은 표정보다는 조금 낮은 단계의 표정이 좋다고 말하고 있다.
보다 더 긍정적인 표시를 할 수 있는 최후의 표정은 남겨두어야 한다.

결론은 상대방에 대한 이해와 배려가 충분하다면 어떤 것이든 함께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나를 낮추고 상대방을 존중한다면 함께 하지 못할 일이 무엇이 있을까?
지금 우리 사회에 꼭 필요한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