겟 머니 GET MONEY
이경애 지음 / 밀리언서재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기자로 활동하며 수백명의 부자들을 직접 만날 기회가 있었다.
직업상 해야 하는 인터뷰가 아니라 그들의 부의 근원을 알고 싶었다.
그리고 그들이 알려준 방법을 자신의 삶에 적용하여 자신도 부자가 되었다.
이 책은 부자들과의 만남을 통해 배운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그는 자신이 부자가 될 수 있었던 이유는 돈의 속성과 돈의 흐름을 연구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무턱대고 노력을 쏟아붓기 전에 이 사회가 돈을 생산해내는 시스템을 이해하고 돈을 벌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먼저이다.
노력은 그 다음 순서라는 것이다.

“부자들은 시스템을 이용해서 돈을 번다.
돈이 돈을 버는 원리에 철저하게 순응하는 것이다.”
누구나 근면하고 성실하다.
그 누구보다 부지런하고 열심히 노력하는 사람을 알고 있다.
하지만 그는 부자가 아니다.
왜일까?
돈에 대한 속성과 사회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일 것이다.
노력이 우선이 아니라, 시스템을 이해하는 것이 먼저다.
노력을 폄하하는 것이 아니라 ‘제대로' 노력해야 함을 강조하는 것이다.



본업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
투자나 부업으로 어느 정도의 수입을 올리면 본업에 대한 관심이 줄어든다.
속된 말로 ‘때려치고' 부업에 집중하려고 한다.
때로는 이런 스위칭이 필요하기도 하다.
하지만 잠깐의 수익으로 이를 오해해서는 안된다.
앞으로도 지금의 본업보다 나은 수입이 가능하다면 전업이 가능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본업을 놓아서는 안된다.
부업은 그저 부업일 뿐이다.

“부자들의 빚은 자본의 재생산이 가능한 형태이고,
보통 사람들의 빚은 자본이 사라지는 형태이다.”
레버리지, 빚.
이 둘이 차이는 결과적으로 수익을 냈느냐, 손실을 보았느냐이다.
‘대출'이라는 같은 행위에 대해 결과에 따라 빚이 되기도, 레버리지가 되기도 한다.
지금 가지고 있는 대출이 수익을 위한 것인지, 소비를 위한 것인지 생각해 보면 된다.
수익을 위한 것이라면 레버리지가 될 것이고, 소비를 위한 것이라면 빚이 된다.
이 차이가 부자와 보통 사람의 차이이다.
빚에 대한 본능적인 거부감이 있었는데, 빚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본다면 좋은 도구가 될 수도 있다.

“목표가 있다면 정확한 숫자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언제부터 언제까지, 얼마의 돈을, 어떤 방법으로 벌겠다고.
그런 것이 없으면 허망한 몽상에 지나지 않는다.”
지금까지 내가 세운 목표는 몽상이였던 것 같다.
나름 명확하게 세웠다고 생각하지만 ‘정확한 숫자'로 표현한 것은 몇 되지 않는다.
분명 목표를 세워야 한다.
그리고 그 목표는 숫자로 표현할 정도로 명확해야 한다.
그저 ‘부자가 되겠다'보다는 ‘언제까지 얼마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되겠다'라는 것이 더 현실성 있는 목표를 세우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아이디어는 로켓 우주선처럼 거창한 것이 아니다.
어떤 사람이든 공감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일상에서 늘 접하는 흔해빠진 물품, 음식, 공간 등을 관찰하거나, 작은 불편을 파고드는 것만으로도 얼마든지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오릴 수 있다.
독특해 보이는 아이디어들은 사실상 익숙함에 새로움을 덧입힌 것이다.
이 새로움이란 불편함을 해소하는 기능이거나, 소비자들의 니즈를 한층 강화한 형태이다.
아이디이라고 하면 지금까지 없던 완전 새로운 것을 떠올린다.
하지만 우리 주변의 성공한 아이디어들은 오히려 익숙한 것들이 많다.
기존의 것에 조금 더 추가하거나, 변형한 것들이다.
아이디어를 어렵게 생각하지 말자.
지금 나에게 불편한 것,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그것이 좋은 아이디어이다.

저자가 만난 다양한 부자들의 사례를 보면서 부자들의 시각과 나의 시각의 차이를 느낄 수 있었다.
같은 상황이라도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완전히 다른 결과를 만들수도 있다.
부자가 되고 싶은가?
그렇다면 이 책에 있는 부자의 생각을, 행동을 따라해 보자.

[이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