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십육계
김영수 지음 / 창해 / 2022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삼십육계.
보통 ‘줄행랑'과 함께 많이 쓰지요.
많이 쓰는 단어지만 그 뜻을 제대로 알지도, 알려고 하지도 않았네요.
삼십육계는 병법서입니다.
정통 병법서라기보다는 계책에 대한 방법을 보여주는 기서입니다.
36계는 36가지의 계책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음양학적으로 ‘헤아릴 수 없이 많다'는 의미라고 하네요.
물론 이 책에서는 36가지의 계책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삼십육계는 ‘주역'의 사상이 많이 담겨있습니다.
음양오행에 기반한 인간의 심리와 사물의 원리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책의 앞부분에서는 삼십육계에 대한 기원, 출처, 원리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여타 책에서는 볼 수 없는 내용이라 무척 흥미로웠습니다.
본문에서는 삼십육계의 계략에 대해 하나씩 설명해 줍니다.
계략 자체가 워낙 간단한 한자로 되어 있어 그 해석 또한 간단합니다.
물론 그 안에 담겨있는 내용은 그리 간단하지 않지요.
무엇보다 각 계략에 대해 우리가 많이 알고 있는 ‘삼국지'의 내용과 경영사례를 예로 들고 있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삼심육게와 삼국지를 같이 읽는 느낌이네요.
차도살인, 성동격서, 타초경사, 원교근공, 미인계, 공성계, 반간계, 고육계, 연환계, 마지막으로 주위상계(흔히 줄행랑이라고 하죠)까지 우리가 많이 쓰는 단어들이 삼십육계의 계략입니다.
저도 책을 보면서 이 내용들이 삼십육계의 전략임을 처음 알았네요.
삼십육계는 정통 병법서는 아닙니다.
자신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구사할 수 있는 계략집입니다.
지금처럼 급격한 변화의 시기에는 손자병법과 같은 정통 병법서보다는 삼십육계와 같은 기서가 더 적절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삼십육계가 이런 내용을 담고 있는 줄 알았다면 진작 봤을텐데라는 늦은 후회가 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