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를 살리는 논어 한마디 - 거친 물결에 흔들리는 삶을 잡아줄 공자의 명쾌한 해답
판덩 지음, 이서연 옮김 / 미디어숲 / 2022년 5월
평점 :

이 책은 ‘판덩 독서’를 운영하고 있는 저자가 해석한 논어이다.
논어의 문장 중 인생의 힘든 시기를 이겨낼 수 있었던 자신만의 해석을 보여주고 있다.
학술적이지도 않고, 어렵지도 않다.
현실의 고난과 고민을 논어를 통해 어떻게 해결했는지를 보여준다.
문장 하나를 놓고, 그 의미를 현대적으로 해석하고 있다.
주관적이긴 하지만 공감할 수 있어 좋다.
사실 논어에 대한 해석에 '이것이 정답이다'라고 할 수 있는 것을 없을 것 같다.
같은 문장이라도 볼 때마다 조금씩 해석이 달라진다.
어쩌면 그것이 고전의 매력이 아닐까 싶다.
각 문단 마지막에 있는 '마음 채우기'를 통해 다시 공자의 말씀을 되새기고 지금의 나를 돌아볼 수 있다.
자리가 없음을 걱정하지 말고, 설 수 있을지를 걱정해야 하며,
자신을 알아주지 않는 것을 걱정하지 말고, 알려질 수 있게 되는 것을 구해야 한다.
한때 이런 생각에 많이 불안했었다.
지금은 '아니다'라고 단언할 수는 없지만, 예전보다는 덜하다.
내가 할 수 있는 것에 관심을 쏟아야 한다.
자리가 있을까, 알아줄까 처럼 내가 아닌 남이 하는 것에 신경을 쓴다고 해도 돌아오는 것은 없다.
스스로 설 수 있을 때 자리가 생기고, 알려질 수 있게 노력한다면 알아서 찾는다.
공자는 이미 오래전부터 사고에서 행동으로 이어지는 시간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사고에서만 멈출 것인가, 민첩하게 실천으로 이어나갈 것인가는 미래의 길을 트기 위한 상당히 중요한 문제다.
제자리 걸음으로 생각만 할 것인가, 행동으로 옮겨 발을 내디딜 것인가.
지금 고민중이라면 당장 일어나 움직여라!
움직여라.
생각만 하다가 기회를 놓칠 때가 있다.
완벽한 계획은 없다.
순간순간의 생각을 모두 행동으로 옮길수는 없겠지만, 어느 정도의 생각이 다져지면 바로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
실행이 없는 생각은 어떤 결과도 만들수 없다.
가까이 있는 사람이 가장 소중한 사람들이다.
우리는 우리에게 가장 소중한 물건은 아끼면서 사람들은 쉽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바로 옆에 있는 사람들을 공경하는 것, 이것이 당신이 다른 사람들로부터 공경받는 방법이기도 하다.
누군가에게 존중받고 싶다면, 먼저 존중하라.
이 또한 give&take다.
나이, 직급, 성별을 떠나 상대방을 진정으로 존중하면 그도 나를 존중한다.
자신은 하지 않으면서 상대방에게 요구하는 것도 일종의 폭력이다.
상대방의 존중을 요구하기 전에 내가 그를 어떻게 대하는지 먼저 생각해 보자.
요즘 자꾸 논어와 같은 고전에 눈길이 간다.
이런저런 생각거리가 많아서 그런 듯 하다.
차분하게 생각을 정리할 수 있는 좋은 문장을 보니 한결 마음이 가볍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