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으르다는 착각 - 우리는 왜 게으름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는가
데번 프라이스 지음, 이현 옮김 / 웨일북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제목이 눈길을 끌었다.
게으르다는 착각?
게으르지 않으면서 게으르다고 생각한다는 것일까, 게으름이 나쁘지 않다고 말하는 것일까?
이 책의 주제는 두가지 모두를 말하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충분히 게으르지 않은 삶을 살고 있다.
한국인이라면 '빨리빨리'와 '성실'이 민족성이라고 할 정도이다.
그렇기에 '게으름'은 꼭 피해야 할 것이고, 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바쁠 때는 아무것도 하지 않을 진정한 휴식을 원하지만, 막상 쉴 시간이 주어지면 아무것도 하지 않는 자신이 불안해진다.

저자가 말하는 게으름은 해야 할 일을 하지 않고 농땡이 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지나치게 일만 열심히 하는 것을 경계하는 것이다.
매일 10시간 이상씩 일하다가 8시간을 일하면 상대적으로 게을러 보일 수 있겠지만, 절대적인 기준으로 본다면 게으른 것은 아니다.
저자는 이런 시각에 경종을 울리는 것이다.

우리가 게으름으로 판단하는 겉보기에 '나쁜' 행동들은 실제로 우리 삶에서 무언가가 바뀌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강력한 신호다.
빈둥거리기는 삶의 정상적인 일부다.
맑은 정신과 건강을 유지하려면 한가로운 시간을 가져야 한다.
게으르고 싶은 마음은 더 많은 휴식이 필요하거나 해야 할 일을 줄여야 한다고 우리에게 알리는 강력한 내면의 경고이기도 하다.

격렬하게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다.
예전에 광고에 나왔던 카피인데, 무척 공감이 갔다.
가끔은 아주 격하게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을 때가 있다.
당장 급하게 처리해야 할 일들이기에 그 감정을 숨겼지만, 그건 내 몸이 보내는 신호이다.
이 신호를 너무 자주 무시하면 번아웃이 올 수도 있다.
번아웃보다는 잠깐의 게으름이 더 좋지 않겠는가.

우리가 휴식을 취하고 게으름을 피울 때, 자신에 대해 새로운 것을 알게 되거나 일에 집중할 때라면 절대 떠오르지 않았을 환상적인 통찰이 떠오를 수 있다.
게으름이 그런 순간에 도달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들 중 하나라는 것이다.
통찰과 창의력의 순간들은 억지로 한다고 해서 나오지 않는다.
정신 활동을 하지 않는 기간이 필요하다.
"일단 그것에 대해 깊게 생각해. 그러고 나서 잊어. 그러면 아이디어가 갑자기 떠오를 거야."

항상이라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꽤 자주 그러하다.
샤워할 때, 산책할 때, 멍하니 있을 때...
이럴 때 그동안 막혔던 일의 해결책이 생각나고,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른다.
우리가 알고 있는 '유레카'가 가장 좋은 예일 것이다.
단, 여기에는 조건이 있다.
해결방법과 아이디어가 떠오를 정도의 충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아무런 노력도 하지 않고 답을 얻기를 바라는 것은 바보나 하는 짓일 것이다.

행동으로 나타내기는 행복하길 원하고 삶을 제대로 인식하길 원한다면 기쁨을 느꼈을 때 그것을 보여주어야 한다고 제시한다.
행복감을 높여주는 또 다른 방법은 삶의 즐거운 순간에 오롯이 머무는 것이다.

행동으로 나타내기, 오롯이 머물기.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다.
얼마나 행복한지 행동으로 표현하고, 그 순간을 즐겨라.
행복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지만, 눈에 보이게 표현하면 더욱 크게 느낄 수 있다.

무언가를 배울 때 좀 더 느리고 사색적인 접근법을 취하면 더 신중해지고 비판적으로 바라보며, 불안을 줄일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노력의 질과 그 이면의 의도성이지 얼마나 열심히 스스로를 압박하느냐가 아니다.

공부하는 학생들의 성적에 대한 압박감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아이러니한 것은 그 압박감에서 벗어나면 더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있다.
'성적'을 위한 공부가 아니라 '성취'를 위한 공부를 하기 때문이다.
'어떤 의도'를 가지고 있느냐가 '질'을 좌우한다.
양과 질.
모두 중요하겠지만, 질을 떨어뜨리면서 양을 늘리지는 말아야 한다.
굳이 선택해야 한다면 난 질을 선택할 것이다.

타인과 진정성 있고 안전한 관계를 형성하려면 타인을 실망시키는데 편안해져야 한다.
고통스러울 정도로 많은 업무량과 다른 책임을 줄이는 법을 배워야 하는 것처럼 관계에서도 싫다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두 문제에 대한 해법은 우리의 진정한 욕구를 받아들이고, 싫다고 말하는 게 우리를 게으르게 하면 어쩌나 하는 걱정을 그만하는 것이다.

관계와 게으름의 관계가 신선한다.
거절의 표현이 결코 게으른 것은 아니다.
오히려 스스로에게 더 충실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자신만 생각해서도 안되지만, 자신을 생각하지 않아서는 더더욱 안된다.
자신을 아끼고 사랑한다면 적절한 거절은 필요하다.

책은 게으름을 찬양하지 않는다.
적당한 휴식과 여유를 통해 삶과 일의 조화를 찾아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바로 워라밸이다.
게으름보다는 번아웃을 택하겠다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우리가 인생을 사는 목적, 이유를 생각해 본다면 적당한 휴식과 여유가 결코 게으르다고 평가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