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둘리지 않는 말투, 거리감 두는 말씨 - 나를 휘두르는 타인으로부터 자신을 지키는 책
Joe 지음, 이선영 옮김 / 리텍콘텐츠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투, 말씨.
'말투'라고 하면 비아냥처럼 부정적인 느낌이 들고, '말씨'라고 하면 고운처럼 긍정적인 생각이 든다.
난 말투일까, 말씨일까?
TOP와 같은 상황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내가 생각하는 것과 상대방이 생각하는 것은 다를 것이다.


이 책은 미움받을 용기가 없는 분들을 위한 책이다.
쉽게 거절하지 못하고 받아들이는 분들이라면 꼭 보길 권한다.
자신만의 생각을 상대방에게 최대한 기분 나쁘지 않게 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다.


'좋은 인간관계는 적당한 거리감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 말에 무척 공감이 갔다.
거리감이 없으면 쉽게 거절을 하지 못하고, 사소한 일에도 상처 받을 수 있다.
친하고 좋긴 하지만 '노'라고 말할 수 있는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반대로 자신도 '노'를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마음대로'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위해' 행동하는 것입니다.

'마음을 위해'라는 말이 무척 인상적이다.
'마음대로' 행동하는 것은 이기적인 것이고, '마음을 위해' 행동하는 것은 개인적인 것이다.
이타적인 마음과 행동은 필요하다.
하지만 개인이 받아 들일 수 있는 이상의 희생을 요구하는 것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거절해야 한다.
그것이 자신을 아끼고 사랑하는 가장 최소한의 것이다.

인간관계란 상대와의 거리감을 측정하면서 자신에게 알맞은 상태로 조정해 나가는 것입니다.
현악기의 현을 적당한 긴장감으로 조율해야 가장 아름다운 소리가 들리는 것처럼요.

한 문장이지만 참으로 어렵고 힘든 것이다.
'알맞은 상태'가 주관적이고,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그렇기에 누군가에게는 오해를 살 수도 있다.
'모든' 악기를 '잘' 조율하려고 하지 마라.
'내가 좋아하는 악기'만 잘 조율하면 된다.

거절할 때는 거절의 이유를 장황하게 설명하는 논법보다 '정말 구미가 당기는 제안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절한다'라는 논법이 훨씬 효과가 강합니다.

거절을 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하려면 단호해야 한다.
핑계와 변명으로 장황하게 얘기하면 거절의 의사가 명확하게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상대자에게도 추가 요청에 대한 빌미를 줄 수 있다.
정중하지만, 단호하게.
이것이 거절의 가장 모범답안이다.

자신의 성장을 위해 도전적인 일을 맡을 수도 있습니다.
그것대로 의미가 있으니까요.
하지만 거절하지 못해 싫어하는 일이나 할 수 없는 일까지 떠맡는 것은 아까 말한 것처럼 자신의 목을 조르는 일밖에 되지 않습니다.
그러니 기본적으로 가능한 일만 맡는다는 의식을 기반으로, '무엇을 어디까지 할 수 있는지'를 상대에게 명확하게 표현하는 것입니다.

도저히 거절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부분동의'가 좋다.
모두 받아들일 수는 없지만, 부분적으로 가능하다고 동의하는 것이다.
이 때도 주의할 점은 '부분'임을 명확하게 전달해야 한다는 것이다.

당연한 소리지만 내 인생은 누구의 것도 아닌 나의 것이다.
오늘 하루를 되돌아보자.
정말 '나의 인생'을 살았는지...
이 책으로 휘둘리지 않고 온전한 나의 인생을 살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
지금까지 자신의 행동, 생각, 말과 다른 것이기에 조금은 불편하고 어색할 수 있다.
변하지 않으며 지금까지와는 다른 인생을 살기를 바라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