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적을 부르는 공감 대화법 - 최고 스타강사의 상대를 사로잡는 말하기 비법_공략편
장신웨 지음, 하은지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로나로 인한 팬데믹으로 인한 가장 큰 변화는 비대면이다.
같은 공간에서 일하고, 먹고, 말하지 못했다.
같은 대화를 하더라도, 대면과 비대면의 차이는 크다.

개인의 매력 = 신체 언어 55% + 목소리 언어 38% + 말 언어 7%

책에 있는 글이지만, 위 글에 공감한다.
대면일 때는 그 사람의 태도와 모습을 통해 그가 하는 말에 대한 이해를 한다.
하지만 비대면이라면 '말투'와 '언어'로 이해할 수 밖에 없다.
어쩌면 더 명확한 전달이 될 수도 있지만, 그만큼 말을 더 신중하게 해야 됐다.


이 책의 저자 장신웨는 바이두의 말하기 전담 강사이다.
수많은 고객들의 요구와 상담에 대해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를 알려주었다.
요즘 같은 비대면 시대에 반드시 요구되는 스킬이다.

대화에도 '지피지기'가 필요하다.
상대방의 스타일에 따라서 말하는 방법이 달라야 한다.
책의 앞부분에서는 상대방의 스타일에 따라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때로는 과감하게, 때로는 논리적으로...
말하는 방법에 정답은 없다.
혼자하는 말이 아니라면 상대방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최고의 방법이다.

뒷부분에서는 다양한 말하기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명확하게 전달하는 방법,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말하는 방법들을 통해 상대방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도록 해준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의사'의 눈이 아니라 '목수'의 눈이다.
목수는 도구나 자재의 장점과 단점, 좋고 나쁜 것을 따지지 않는다.
그저 어디에 어떻게 사용하면 좋은지 그 쓰임새에 집중한다.
그러므로 칭찬하는 법을 배우고 싶다면 '목수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자.
자기 자신은 물론 다른 사람도 '목수의 눈'으로 바라봐야 그들의 역할을 인정할 수 있고, 진정 어린 칭찬도 하게 된다.

항상 '의사의 눈'으로 바라본 것 같다.
아픈 곳을 찾으려는 의사처럼 나쁜 점, 못한 것만 찾으려고 한 것 같다.
칭찬을 하기 위해서는 있는 그대로를 바라볼 수 있는 '목수의 눈'이 필요하다.
좋은 원목도 필요하지만, 부러진 각목도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칭찬은 좋은 원목뿐만 아니라 부러진 각목에도 할 수 있어야 한다.

  1. 디테일 : 증거를 바탕으로 칭찬하기
  2. 진실함 : 실제 있었던 일에 생각을 더해 칭찬하기
  3. 실증적 : 새로운 점을 발견해서 '통쾌한' 칭찬기
  4. 긍정적 위로 : 듣는 사람에게 힘을 주기

칭찬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아무 의미없는 '좋아요', '잘했어요'는 칭찬이 아니다.
어쩌면 괴롭힘이고, 비난으로 보일 수도 있다.
있는 사실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할 수 있어야 진실된 칭찬이다.
난 의미없는 칭찬을 하지는 않았는지 생각해 보게 된다.

말을 많이 하는 게 중요한 게 아니다.
'맞는 말'을 하는게 중요하다.

때로 맞지 않은데 맞다고 해야 하는 상황과 맞닥뜨리기도 한다.
참으로 곤란하다.
생각해 보면 이때는 말이 무척 장황해진 것 같다.
맞는 말이면 짧게 끝날 말이 빙빙 돌리고, 비유하고, 설명하면서 맞는건지 아닌건지도 헷갈리게 했다.
맞는 말만 하고 살 수 있었으면 좋겠다.

A(affairs) : 현실적인 상황을 설명하고 사실에 근거해 데이터를 열거하라.
B(boring) : 당신을 힘들게 하는 감정을 고백해 공감대를 형성하라.
C(change) : 바꾸고자 하는 바를 명확하게 제시하라.

저자는 원하는 것을 이루기 위한 방법으로 위의 'ABC 표현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방법은 모두가 알았으면 좋겠다.
대화란 상대방에게 나의 의사를 '제대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명확하지 않은 내용은 상대방으로 하여금 더 혼란스럽게 만들 수도 있다.
사실에 근거해 솔직한 내용을 명확하게 전달하자.

각 장의 끝에는 '실전 연습 노트'가 있다.
이번 장을 읽으면서 내가 어떻게 생각하는지, 무엇을 해야 할지를 정리할 수 있는 공간이다.
하나씩 쓰다보니 나에 대해서도 많이 알게 된다.
이 책으로 '올바른 대화'를 할 수 있는 방법들을 배울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