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이언스 픽션 - 과학은 어떻게 추락하는가
스튜어트 리치 지음, 김종명 옮김 / 더난출판사 / 2022년 1월
평점 :
'과학'이라고 하면 매우 이성적이고 철저하게 검증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적어도 '과학적'이란 단어가 앞에 붙으면 거의 '진리'와 같은 수준의 믿음을 줄 수 있다.
그렇기에 과학적인 내용들을 인용하고 따르려는 것이다.
그런데...그 과학이 거짓이라면?
이 책은 바로 이런 질문에서 시작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23/pimg_7076331503318357.jpg)
이 책은 현재 과학계의 잘못된 관행에 대해 깊이 있게 말하고 있다.
관행 자체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이러한 관행을 부추기고(?) 있는 문화가 더 큰 문제이다.
이런 문제점에 대해 조목조목 구체적인 실례를 들어가며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에는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150여 페이지에 달하는 참고문헌과 주석은 저자가 이 책을 쓰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을 했는지를 보여준다.
'간수와 죄수' 실험으로 많이 알고 있는 짐바르도의 실험.
무작위로 선별한 사람들을 임의로 '간수'와 '죄수'로 구분해 놓으면 자연스럽게 자신의 역할에 빠져들고 점점 더 가혹한 행위를 하게 된다는 것이다.
놀라운 것은 죄수의 역할을 맡은 사람들은 그걸 당연하게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이 실험의 결과 자체도 충격적이였는데 이 실험이 대표적인 오류라고 한다.
임의로 실험대상으로 구분한 것이 아니라 '간수'의 역할을 맡은 대상들에게 구체적으로 그들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설명했다는 것이다.
이는 간수들에게 앵커링으로 작용하여 편향적인 결과를 만들어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23/pimg_7076331503318358.jpg)
'생각에 관한 생각'은 나도 본 책으로 상당히 많이 유명하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본 책이기에 저자가 말한 실수는 되돌릴 수 없는 피해를 낳았을 것이다.
저자가 말하는 과학의 폐해가 얼마나 영향을 끼치는지 잘 보여주는 사례라 볼 수 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23/pimg_7076331503318360.jpg)
이 책을 보기 전 황우석 교수가 떠올랐다.
그런데...저자도 황우석 교수의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과학자는 윤리적으로 행동할 것이라는 잘못된 믿음이 엄청난 사기꾼을 만들었다는 이야기다.
참으로 씁쓸한 우리나라 과학의 현대사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23/pimg_7076331503318361.jpg)
위의 굵은 글씨체의 글들을 유의깊게 보라.
한글임에도 보통 사람들이라면 이해하기 어려운 말장난(?)이다.
과학 분야뿐만 아니라 논문에서도 많이 발견되는 문장들이다.
'확정'을 지을 수 없는 것은 알겠지만, 그렇다고 두루뭉실하게 이도저도 아닌 듯한 문구는 아닌 듯 하다.
아마 여러분은 저널에 게재된 논문과 동일한 데이터 세트를 놓고 분석을 실시한다면 당연히 논문과 동일한 결과를 얻게 되리라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불행히도 많은 학문 분야에서 겉으로 보기에는 매우 간단해 보이는 이 과제를 수행하는 데 있어 끔찍한 어려움을 겪어왔다.
그렇다면 어떻게 동일한 데이터를 가지고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없는 일이 생길까?
한 가지 이유는 가끔 원본 연구에 오류가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이유는 연구자들이 보고한 데이터 분석 결과가 투명한 과정을 통해 얻은 것이 아닌 경우다.
위와 같은 사례는 가끔 언론을 통해 공개되었다.
과학분야에서는 '인용'을 많이 한다.
그 인용 연구가 잘못되었다면 그것을 인용한 연구들 또한 불확실해지는 것이다.
과학이 더욱 정확하고, 명확해져야 하는 이유 중 하나이다.
특히, 자신의 이론을 정당화하기 위한 편향된 데이터 수집은 더더욱 문제이다.
그렇다면 지금의 상황을 반전시킬 방법을 없을까?
저자는 '오픈 사이언스 운동'을 주장하고 있다.
그 방법으로 아래와 같이 행동하기를 주장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23/pimg_7076331503318362.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23/pimg_7076331503318363.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23/pimg_7076331503318364.jpg)
연구와 분석, 검증 과정을 분리하고, 엄격한 사전 등록을 통해 미리 동료들이 평가한다.
그리고 결과에 대해서는 대중들에게 공개하여 모두에게 검증받을 수 있게 한다.
이것이 저자가 말하는 오픈 사이언스 운동의 요체이다.
우리가 이 책에서 단 한 가지만 배워야 한다면 그것은 과학이란 것이 꽤 자주 잘못될 수 있다는 점을 깨닫는 것이다.
과학에 대해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우리에게도 잘못이 있다.
과학은 절대 진리가 아니고 누군가는 더 나은 법칙을 찾고, 새로운 것을 만들 수 있는 '진행중'인 것이다.
'아무도 믿지 말라'는 영국왕립학회의 모토처럼 과학도 그렇게 봐야 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23/pimg_7076331503318365.jpg)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진리다."
책의 마지막 문구이다.
이 책을 통해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과학계의 폐단을 비판하는 것이 아니다.
진리를 찾기 위한 과학계의 노력이 정상적으로 운영되길 바라는 것이다.
우리가 알고 싶은 것은 진리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