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떻게 재치 있게 농담할 것인가? - 유머의 기술을 익히고 싶은 현대인을 위한 고대의 지혜 ㅣ 아날로그 아르고스 5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지음, 마이클 폰테인 엮음, 김현주 옮김 / 아날로그(글담) / 2022년 1월
평점 :
농담.
지나치면 가벼워 보이고, 없으면 너무 삭막하다.
TOP(시간, 상황, 장소)에 가장 적합해야 한다.
같은 말이라도 뉘앙스나 상황에 따라 웃음을 부를수도, 주먹을 부를 수도 있다.
그렇기에 농담은 노력이 아니라 자질이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다.
어느 것이나 그렇겠지만 자질도 있겠지만 후천적인 노력으로 키울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바로 이 책이 그 방법을 알려준다.

이 책 '어떻게 재치 있게 농담할 것인가'는 아날로그 아르고스 시리즈 중 하나이다.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주제에 대해 고대 철학자들의 답을 보여주는 시리즈이다.
이 책의 주제는 '농담'이다.
가벼워 보일 수 있는 '농담'이라는 주제에 대해 고대 철학자들의 진지한 성찰을 볼 수 있다.
키케로와 퀸틸리아누스의 글을 바탕으로 설명하고 있다.
키케로는 고대 로마의 정치가로만 알고 있었는데 가장 재미있는 사람이였다는 사실은 조금 놀라웠다.
그의 저작 중 농담에 대한 진지한(?) 이야기를 보여주는 책이 있다는 것도 신기하다.
예나 지금이나 즐거운 이야기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은 것 같다.

농담을 가르칠 수 있을까?
서두에서 제기한 나의 의문에 대한 해답은 '그렇다'이다.
'농담'에 대한 좋은 예와 방법에 대해 위와 같은 대화형으로 진행하고 있다.
농담은 중요한 문제들을 심각하게 다루기보다는 효과적으로, 효율적으로 지적한다.
이것이 농담의 가장 큰 장정이자 특징이라 생각한다.
심각한 상황을 부드럽게 만들지만 결코 주제에 벗어나지 않는 명쾌함.
이것이 좋은 농담이지 않을까.
만담꾼과 연설가의 차이점은 주변 상황을 얼마나 고려하는지, 농담의 수준을 얼마나 절제하고 조절하는지, 농담의 빈도를 얼마나 제어하는지에서 알 수 있다네.
또한 연설가가 농담을 하는 이유는 재미있어 보이기 위해서가 아니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인 반면, 만담꾼은 특별한 이유도 없이 주야장천 농담을 던지지.
위에서 말한 '효과'와 '효율'이 없는 농담의 차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농담은 단지 웃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목적을 효과적으로, 효율적으로 이루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다.
모든 농담에 목적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저 웃음만을 위한 것이라면 가벼운 사람, 속없는 사람으로 보일 수도 있다.
첫 번째는 '도시적인 세련됨'이다.
두 번째로, 유머는 '매력적'인 말이기도 하다.
세 번째로, 우리는 평범한 이야기에서 재미있는 요소를 '맛깔스럽다' 혹은 '자극이 있다'라고 한다.
네 번째로, 유머는 '재치 있는' 말이며, 이는 마냥 '재미있는' 말과는 다르다.
다섯 번째로, 우리는 '농담'을 '심각한' 것과는 반대라고 생각한다.
여섯 번째로, '짓궂은 조롱'은 분명 모든 종류의 유머의 기본 요소인 디케레('말하다'라는 뜻)에서 파생되었지만, '조롱하다'라는 의미가 적절하다.
유머의 특징을 여섯 가지로 정리한 글이다.
세련됨, 매력적, 맛깔, 재치.
이런 것이 포함된 농담은 가벼워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더 멋지게 보이게 만든다.
원전이 라틴어이기에 그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예를 든 농담들은 쉽게 이해하기 어려운 것도 있었다.
특히 동음이의어와 같은 경우는 아래의 원어를 봐야 이해할 수 있었다.
이는 번역의 문제가 아니라 농담의 소재에 대한 근원적인 문제라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세한 설명으로 인해 농담의 취지는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책에도 나와있지만 농담을 잘한다는 것은 말을 잘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말장난도 농담일 수 있겠지만 진짜 웃음을 유발하는 말은 상황에 대한 적합한 이해와 적절한 단어와의 조합이다.
깊은 지식과 식견이 있을 때 멋진 농담이 나올 수 있다.
[이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