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근차근 클래식 - 클래식도슨트 한혜란과 함께하는
한혜란 지음 / 더좋은책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가끔 클래식을 듣는다.
이전에는 가요, 팝만 들었는데, 가사가 없는 음악을 찾다가 재즈, 클래식으로 기호가 변한 듯 하다.
들으면서도 그냥 음악 자체를 즐길뿐 클래식에 대한 지식은 없었다.
이 책 '차근차근클래식'의 제목을 보는 순간, 그냥 듣기 보다는 조금이라도 클래식에 대해 이해를 하고 싶어졌다.


저자는 클래식 전공자이다.
하지만 단지 연주만 했을 뿐 클래식에 대한 지식이 없었음을 솔직하게 고백하고 있다.
친구와의 대화 중 클래식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고 이전과 다른 관점에서 클래식을 접하게 되었고, 지금은 클래식 도슨트로 활동하고 있다.

책은 클래식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거의 모두 다루고 있는 것 같다.
클래식 입문서라고 해야 할까?
앞부분에서는 클래식 음악에 대한 소개와 공연장 및 매너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명당 자리, 팸플릿 등 처음 가보는 사람들을 위해 친절하게 설명하고 있다.

곡이 모두 끝나고 쳤는데도 간혹 원성을 사는 박수가 있다.
바로 '안다 박수'이다.
'안다 박수'란 '나는 이 곡이 언제 끝나는지 잘 안다'를 과시하듯 곡이 끝나기가 무섭게 가장 먼저 치는 박수를 말한다.
클래식 공연에서는 곡이 끝나고 지휘자가 지휘봉을 완전히 내린 후 박수를 치는 것이 관례이다.
음악의 여운을 충분히 느끼고 지휘자가 돌아서서 인사할 때 박수를 치면 된다.

클래식 라이브를 들으면서 궁금했던 것 중 하나가 바로 '박수'였다.
어떤때는 중간-악장과 악장 사이-에 치고, 어떤때는 안 치고...
그 기준이 궁금했는데, 오페라 같은 경우에는 환호해도 된다고 한다.

다음으로는 오케스트라와 악기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오케스트라에 사용되는 악기가 많은 것은 알고 있었지만, 악기의 역사나 배치 등에 대한 설명은 오케스크라를 볼 때 유심히 볼 것 같다.
그리고 다양한 클래식 음악에 대해 설명해 주고 있다.
각종 중주는 물론이고 성악곡에 대해서도 알려준다.
아직 성악이나 오페라는 익숙지 않았는데 앞으로 가끔 접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마지막으로 음악가들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한번쯤은 들어보았을 음악가들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그들의 음악 이야기뿐만 아니라 인생도 이야기하고 있는데 서로에게 많은 영향을 주고 받은 것 같다.

아래와 같은 내용은 이 책이 아니였으면 몰랐을 사실이였다.

한국전쟁 당시 피난 열차에서 울려 퍼졌던 'G선상의 아리아'
바흐가 '음악의 아버지'가 될 수 있었던 건 멘델스존 덕분.
'메시아'의 '할렐루야' 합창곡이 연주될 때는 청중들이 기립한다.
살리에리와 모차르트는 라이벌이 아니라 음악적으로 잘 통하는 동료였다.
슈베르트의 가곡은 '숭어'가 아닌 '송어'이다.


음악가 소개의 마지막 페이지에는 위와 같이 추천곡들이 있다.
이 곡들을 들으며 책을 읽었다.
귀에만 익숙했던 음악들이 조금은 더 가슴에 와 닿는 것 같다.

이 책 자체가 '클래식 도슨트'이다.
음악 그 자체를 즐기는 것도 좋지만 조금의 지식과 함께 한다면 더 깊이, 풍부하게 즐길 수 있을 것이다.

  • 이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