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텝 백 - 성공의 결정적 차이를 만드는 첫 번째 단계
조셉 L. 바다라코 지음, 박진서 옮김 / 토네이도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탭 백(step back)
영어로 '한 걸음 물러서 생각하다'라는 의미이다.
저자는 수년간의 연구와 인터뷰를 통해 성공을 위한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바로 아래의 '모자이크 성찰'이다.

모자이크 성찰의 네 가지 설계 원칙

  • 굿 이너프 정신 : 적당히 괜찮을 것을 목표라 하라
  • 때때로 다운시프팅하라
  • 조각가처럼 생각하라 : 어려운 문제를 숙고하라
  • 잠시 멈추고 평가하기 : 우리가 하고 있거나 하려고 계획하는 일에서 무엇이 정말로 중요한지를 묻는 일이다.



이 책은 왜 이 4가지 방법이 중요한지, 어떻게 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책을 보면서 저자가 말하는 '성찰'이 '명상'일수도, '반성'일수도, '생각'일수도 있다고 느꼈다.
어쩌면 이 모든 것을 포함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성찰은 한 걸음 물러서서 자신이 경험하고 있는 것,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것, 또는 지금 하고 있는 것에 대해 무엇이 정말 중요한지를 파악하는 일이다.

'성찰'을 한 문장으로 요약한다면 바로 위 문장일 것이다.
지금 내가 하고 있는 모든 것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 성찰이다.
그 방법은 휴식일수도, 명상일수도, 산책일수도, 남들과의 대화일수도 있다.
사람마다 그 방법을 다를지언정, 중요한 것은 바로 성찰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어쩌면 자신도 인식지 못하는 사이에 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많은 일들이 비록 어떤 이상에 못 미칠지라도 시도하고 노력할 만한 가치가 있는데, 성찰이 바로 그런 일 중에 하나다.

'차라리 하지 않는 것만 못하다'라는 말이 있다.
분명 그런 일도 있다.
하지만 성찰은 결코 그렇지 않다.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할지라도 '했다'는 사실만으로도 충분히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그런 도전이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고, 효과를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성찰은 꾸준히 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언제든 필요할 때라 생각되면 하면 되는 것이다.
꾸준히 하지 못했다고 포기하지 않기를...

한 걸음 물러서서 문제나 상황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려고 의식적으로 노력해보라.
곰곰이 생각하다 보면 복잡한 문제를 충분히 이해하게 되고, 문제의 어떤 측면이 정말로 중요한지 알 수 있다.

문제에 깊게 파묻히다보면 시야가 좁아진다.
좁아짐으로 디테일하게 문제를 파악할 수도 있지만, 그로 인해 해결안에서 멀어질 수도 있다.
그렇기에 때로는 문제에서 거리를 두고 바라보는 것도 필요하다.

어떻게 우리는 자신만의 '바라보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까?
한 가지 답은 때때로 속도를 늦추고 자신이 경험하거나 관찰한 것에 대해 일기를 쓰는 것이다.
다른 접근법으로는 앞서 나온 관리자처럼 일부러 천천히 걸어가는 시간을 만드는 방법도 있다.

생각해보니, 나도 이 관리자처럼 하고 있었다.
예전에는 운동을 위해 산책을 했다면, 지금은 '생각'을 위해 산책을 많이 하는 것 같다.
운동효과는 줄어들었겠지만, 확실히 생각은 많이 정리가 되는 것 같다.
일기도 좋고, 산책도 좋다.
무엇이 되었든 '나'를 바라보는 시간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성찰의 대부분은 그것이 어떤 것이든지 자신의 감정에 귀를 기울이고 받아들이는 것이다.
나는 우리가 너무 자주 논리에 또 머리가 하는 일에만 집중한다고 생각한다."

무척 공감가는 글이다.
요즘은 '너무 자주'가 아니라 '거의 대부분'을 논리에, 머리가 하는 일에만 집중하고 있는 것 같다.
나 자신에 대해 깊게 생각한 시간이 예전에 비해 많이 줄어들었다.
바쁜 것이 좋은 것이라고 치부하지만 마음속 한 구석에 불안함과 의구심이 드는 것은 어쩔 수 없다.
이 또한 균형이 필요하다.
조금 더 나를 돌아보는 시간을 배정해야 할 듯 하다.

때때로 어떤 문제를 숙고하는 좋은 방법은 그 생각을 멈추는 것이다.
이것은 일단 자신의 문제를 미루어두고 가끔씩 되돌아와 그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말한다.
그 문제와 함께 살아간다는 생각으로.

문제에 대해 이렇게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문제는 '해결'해야 할 대상이지 '함께'할 대상이 아니였다.
지금까지 내가 생각했던 '문제'라는 개념에 대해 파격적인 제안을 던지고 있다.
함께 살아가야 할 대상...
'문제'에 대해 아주 다른 관점으로 생각해 봐야 겠다.

성찰은 우리가 경험하고,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또는 하고 있는 것에서 정말로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뒤로 물러서는 것이다.

성찰을 어렵게 생각할 필요가 없다.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에서 무엇이 중요한지를 알기 위해 조금 더 멀리서 나 자신을 바라보는 것이다.
우리는 너무 빨리, 그리고 한 방향만을 보고 달려가고 있다.
멈춤이 성찰이다.

"지금 바로 이 순간, 나는 무엇을 경험하고 있는가?"

책을 모두 보고 나니 '부제'가 눈에 들어온다.
성공의 결정적 차이를 만드는 첫 번째 단계.
성공은 '나아감'이 아니라 '물러섬'을 통해 만들어진다는 의미일까?
앞만 보고 달려가는 이들에게 뒤로 물러서 전체적으로 관점에서 바라보고, 지금 나의 위치와 상황을 살피는 것이 중요함을 말하고 있다.
제대로 가고 있는지, 어디로 가고 있는지 '늘' 확인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