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관자 효과 - 당신이 침묵의 방관자가 되었을 때 일어나는 나비 효과
캐서린 샌더슨 지음, 박준형 옮김 / 쌤앤파커스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끔씩 사회면에 등장하는 뉴스 중 하나는 누군가 피해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 많은 사람들이 있었음에도 아무도 구호 활동을 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뉴스를 볼 때마다 '어떻게 가만히 있을 수 있지?'란 안타까움과 답답함이 있었죠.
도대체 왜 가만히 있었을까?
이 책 '방관자 효과'는 이 물음에 대한 과학적인 답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책을 보면서 난 한 번도 '방관자'였던 적이 없었던가란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없다고 말하지 못하겠네요.
상황에 대한 핑계를 대겠지만, 없지는 않았습니다.
왜 그러했는지에 대한 논리적인 답변을 이 책에서 찾을 수 있었습니다.
위로는 될 수 있을지라도, 비겁한 변명일 뿐이겠죠.

사람들은 타인과 함께 부정을 목격했을 때 개입하지 않으려는 성향을 보인다는 것이 여러 연구를 통해 이미 확인되었다.
우리는 '누군가 나서겠지'라고 생각하면서 굳이 자신이 개입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정신 분석학자들은 이런 경향을 '책임 분산'이라고 부른다.
책임 분산이란 희생자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확률은 함께 있는 사람의 숫자와 반비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신 분석학자들은 이러한 현상을 '방관자 효과'라고 부른다.

이 책의 제목이기도 한 '방관자 효과'에 대한 정의입니다.
'누군가 도와주겠지'란 생각이 내가 도움을 주지 않아도 되는 합리적 이유가 되는 것입니다.
그 '누군가'가 '자신'이 되면 안되는 것일까요?
왜 거기까지 미처 생각하지 않았을까요?
물론, 도움에 대한 잘못된 피드백-성추행, 절도 등-이 오히려 가만히 있는 것이 좋다라는 생각을 만들었을 수도 있습니다.
'나만 아니면 돼'라는 생각을 '내가 저 상황이라면'이라는 생각을 바꿀 필요가 있습니다.

왜 사람들은 군중 속에 있을 때 혼자서는 하지 않을 행동을 하는 것일까?
여러 이유 중 하나는 익명의 상태이기 때문에 책임을 지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이다.

이 상황은 피해를 주는 상황에서 많이 보여지는 현상입니다.
특히, 익명성이 보장되는 인터넷 상에서 많이 보여지죠.
내가 누군지 남들이 모른다는 익명성과, 그럼에도 다른 사람들의 눈에 띄겠다는 잘못된 영웅심이 이런 상황을 만듭니다.
도움을 주지 못할만정, 적어도 누군가에게 피해를 줘서는 안됩니다.
익명성으로 생긴 용기는 '옳은 말'을 하는데 사용해야 합니다.

우리가 말하지 못하도록 막는 중요한 한 가지 요소는 사회적 결과에 대한 두려움이다.
사람들은 그릇된 행동을 저지른 동료를 고발하면 변절자라고 비난한다.

조직사회에서 많이 나타나는 부분이죠.
내부의 비리를 외부로 폭로하는 것은 '암묵적으로' 절대 하지 말아야 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비밀정보 조항이 아님에도 그렇죠.
분명 옳은 일을 했음에도 내부에서 퍼지는 '변절자'라는 꼬리표를 감당할 자신이 없기 때문입니다.
저 또한 이 부분에서 방관자였던 적이 있음을 인정합니다.

그럼 어떻게 이런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을까요?
저자는 '도덕 저항가'가 되라고 말합니다.

도덕 저항가가 가진 가장 중요한 특징은 군중에 편입되어야 한다는 압박을 상대적으로 덜 받으며, 믿음과 가치에 대해 말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내 믿음과 가치에 대한 신뢰.
군중속의 고독을 견딜 수 있는 용기.
솔직히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갖춰야 할 자질입니다.
그리고 조직도 이런 일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용기를 칭찬하고 권장해야 합니다.
이것이 조직이 더 건강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가장 저렴하고도 확실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도덕 저항가를 키우기 위한 또 다른 중요한 전략은 사람들이 올바른 방향으로 가도록 유도하고, 작은 변화라도 이루도록 훈련시키는 것이다.
또는 옳지 못한 방향으로 향하는 움직임은 작은 것이라도 거부해야 한다.
이 작은 변화가 큰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

처음부터 크게 시작할 필요가 없습니다.
지금 당장 실천할 수 있는 작은 것부터 시작하면 됩니다.
옳지 못한 것을 거부하고, 옳은 것을 받아들이는 것.
말만큼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개인의 용기도 필요하지만, 조직의 아량도 필요합니다.
이것을 받아들일 수 있는 조직이라면 그 자체만으로 투명하고 올바른 조직임을 증명하는 것입니다.

중요한 문제에 대해
침묵하지 않기를 바라며

책의 첫 머리에 있는 글입니다.
'침묵'이 필요할 때도 있습니다.
침묵할 때와, 그러지 말아야 할 때는 잘 판단해야 하겠습니다.
적어도 나의 침묵은 그들에게 '암묵적 동의'로 여겨지게 보여서는 안됩니다.

책을 보면서 많은 반성과 생각을 하였습니다.
더 이상 방관자로 인해 도움을 받지 못하는 사례가 없었으면 좋겠네요.
그러기 위해서는 작은 용기와 실천이 필요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