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FA를 노리는 작은 거인들 - MZ세대가 이끄는 혁신 비즈니스 모델
사이토 도오루 지음, 김소연 옮김 / 영림카디널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히 스타트업의 전성기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많은 기업들이 저마다 자신만의 특징을 내세우고, 창업가들은 열정을 불태운다.
현재 최고라 할 수 있는 GAFA가 그랬듯, 이들 중 누군가는 GAFA를 넘어설 것이다.
이 책은 그 후보 기업들을 보여주고, 왜 그들인지를 설명하고 있다.


CNBC는 매년 파괴적 혁신기업인 '디스럽터50'을 발표하고 있다.
이 책은 그 중 독특하고 혁신적인 비즈니스를 하고있는 기업 20개에 대해 비즈니스 모델부터 창업자, 업계 정보 등을 보여주고 있다.

앞부분에서는 혁신기업이라고 할 수 있는 기업들의 특징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이들 사업을 놓고 '가치를 창조하는가, 가격을 파괴하는가'를 이용자의 관점에서 깊이 생각하는 것은 이노베이션을 시작할 때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현재 기업들이 추구하고 있는 이노베이션의 특징을 '가치 창조'와 '가격 파괴'로 구분하고 있다.
기존에 없던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것을 '가치 창조'라 하고, 기존의 사업체들보다 더 저렴한 가격으로 서비스 하는 것을 '가격 파괴'라 한다.

그리고 이들 파괴적 혁신기업들은 아래와 같이 3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저자는 각 방식의 특징과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디스럽터 기업들을 소개하고 있다.
전혀 생각하지도 못한 비즈니스 모델과 플랫폼을 보여주고 있어 놀랐다.
정말 세상은 넓고 하고 있는 일도 많은 것 같다.
예전에는 스타트업이라고 하면 실리콘밸리만을 생각했는데, 미국 전역에서 활발하게 창업이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플랫폼형 비즈니스는 만능인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상당히 성가시고 어려운 사업일 수 있다.
바로 수요 측과 공급 측의 균형을 맞춰야 하는 점 때문이다.

플랫폼형 비즈니스 모델은 현재 가장 인기있는 것이지만, 결코 쉬운 것은 아니다.
수요와 공급간의 균형을 맞춰야 하기 때문이다.
판매자만 많거나, 구매자만 많다면 비즈니스가 성립될 수 없다.
이 둘의 조화를 만들어 가는 과정은 한 편의 예술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고객의 거래 데이터나 업계와 상품의 동향 데이터를 판매하는 것은 '로빈후드'에만 국한된 드문 경우가 아니다.
앞으로는 AI가 본격적으로 산업에 침투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 핵심인 기계학습이나 딥러닝이라는 기술은 AI가 참조하는 빅데이터의 양과 질에서 승부가 가려진다.
즉, AI가 사회에 더 깊이 침투하면 할수록 빅데이터의 가치는 높아진다.
때문에 앞으로 '로빈후드'처럼 데이터 판매의 대가로 무료화를 하는 비즈니스 모델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로빈후드'는 미국의 공매도에 대항한 서학 개미들로 인해 유명해진 기업이다.
수수료가 무료이기에 개인투자자들이 많이 이용했는데, 이 기업의 수익원은 고객들의 거래 데이터였다.
결코 무료가 아닌 것이였다.
상당수의 기업들은 보호해야 할 고객 데이터를 이처럼 활용하고 있다.
그렇기에 이제는 고객들이 스스로 자신의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열광적인 이용자'를 만들기 위한 핵심은 무엇일까?
하나만 꼽으라면 바로 '아하 모멘트'이다.
바로 그 제품 서비스의 가치가 이용자에게 꽂히는 순간을 말한다.
무엇을 위한 제품이고 왜 필요하며,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라는 가치를 이용자가 가슴으로 느끼는 순간을 말한다.

초기 스타트업에게 꼭 필요한 고객은 수많은 순간 이용자가 아니라 적더라고 충성스러운 고객이다.
이들에게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면, 이들은 스스로 뛰어난 홍보맨이 되어 줄 것이다.
그들로부터 받은 피드백은 그 어느 조언보다 귀한 것이다.
그들을 만족시킬 수 있다면 더 많은 사용자들도 만족할 것이다.

지금, 세상에는 '이익', '확대', '효율'과 같은 20세기적인 가치관에서 탈피해 '아름다운 마음'이나 '행복한 체험' 혹은 '설렘 추구'를 심리적 에너지로 삼아 새로운 위치에서 사업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바로 '내적인 목표'를 동력으로 삼고 있는 창업가들이다.
나는 이렇게 물질적 가치를 넘어 21세기 사람들의 행복을 추구하는 새로운 사업의 창조를 '해피 이노베이션'이라 이름 짓고자 한다.

몇 번의 실패와 성공을 통해 얻은 저자만의 혁신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바로 '해피 이노베이션'이다.
'규모에 상관없이 사람들의 행복을 지속적을 창출하는 이노베이션'을 지향한다.

이 책에서 언급한 기업 중 어느 기업이 GAFA를 넘어설 수 있을까?
이들 기업의 미래를 지켜보는 것도 무척 흥미로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