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뇌 과학이 인생에 필요한 순간 - 2021 세종도서 교양부문
김대수 지음 / 브라이트(다산북스) / 2021년 4월
평점 :
책 제목이 호기심을 불러 일으킨다.
인생에서 '뇌 과학'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한 번도 해보지 않았는데, 그럴 순간은 언제일까?
이 책 '뇌 과학이 인생에 필요한 순간'은 살아가면서 도움이 되는 뇌의 과학적 내용을 알려주고 있다.
책을 보면서 생각보다 많이 뇌에 대해 모르고 있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뇌 과학이 가장 획기적인 발전을 하는 분야임을 고려해도 너무 많이 모르고 있었다.
우리가 보고, 듣고, 느끼는 모든 것은 '뇌'가 판단하는 것이다.
그것을 '사실', '진실'이라고 믿는다.
정말 그럴까?
전부 그런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그것을 뇌 과학을 통해 증명해 보여주고 있다.
우리의 뇌가 나의 생존과 적응을 기준으로 매긴 사람들에 대한 점수에만 의존하다가는 그들의 진정한 가치를 보지 못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내가 경험하는 동안에는 별로인 사람이더라도 내가 알지 못하고 보지 못하는 상대방의 좋은 면모는 얼마든 더 있을 수 있다.
상대방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좋은 면모를 받아들인다는 건 리더의 중요한 자질이며 나의 정신세계를 확장하는 일이기도 하다.
내가 내린 결정은 결코 객관적일 수 없다.
당시 컨디션이 좋지 못해서, 기분 나쁜 일이 있어서 그 사람에 대한 평가가 좋지 않을 수도 있다.
좋지 않은 면이 있더라도, 전부가 그런 것은 아닐 것이다.
우리도 그렇지 않은가.
집중한다는 것은 우선 목표에 대하여 끌림이 있어야 가능하다.
뇌는 모든 새로운 오브젝트에 호기심을 보이고 끌림을 만들어낸다.
그러나 관심이 평등하지 않다.
뇌는 선천적으로 생존이나 번식에 관련된 가치가 높은 오브젝트에 더 큰 끌림을 만들어낸다.
끌림으로 대상에 접근하여 생존과 적응에 유리한 보상을 얻게 된다면 이후 그것에 더욱 몰입하게 된다.
만일 더 이상 보상이 없거나 해로운 경우 몰입을 중단해야 하는데, 중단하기 어렵다면 이미 집착이나 중독 상태로 발전한 것이다.
과거에 보상을 받은 성공이 현재를 붙잡는 것이다.
집중은 목표에 대한 끌림이 있다는 말이다.
이 끌림이 모두 동일하다면 우리의 관심도 그럴까?
그렇지 않을 것이다.
우리의 뇌는 주변의 모든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
그렇기에 자신의 판단대로 선택적으로 받아들이고, 거부한다.
판단의 기준은 '과거의 보상'이다.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전과 동일한 행동을 한다.
반대로 나쁜 결과를 얻은 행동은 피한다.
인류가 지금까지 살아남은 이유이지만, 지금은 더 발전하기 어렵게 만드는 이유이기도 하다.
게임의 규칙을 안다고 해도 나의 성공은 보장되지 않는다.
게임의 규칙은 그야말로 게임에 참여하기 위한 조건일 뿐이기 때문이다.
승리의 확률을 높이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아예 새로운 게임을 만들어 다른 사람들이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새로운 게임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른 사람이 따라 하지 못하는 소위 진입장벽도 중요하다.
누군가 만든 게임의 참여하는 것보다 자신이 만든 게임을 하는 것이 승률이 높다.
그렇기에 모두가 자신의 게임판으로 사람들을 끌어들이려 하고 있다.
좋은 게임은 쉬워 보여야 하고, 한번 시작하면 계속 할 수 있어야 한다.
지금 내가 하고 있는 게임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책을 보면서 인생을 잘 살기 위해서는 뇌 과학도 알아야겠다란 생각을 했다.
인생의 모든 것이 '과학'적으로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판단,결정이 필요할 때는 반드시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