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심리학이 돈을 말하다 - 당신의 부에 영향을 미치는 돈의 심리학
저우신위에 지음, 박진희 옮김 / 미디어숲 / 2021년 3월
평점 :
우리가 살아가면서 필요한 것 중 하나로 '돈'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돈이 많을수록 그것으로 교환할 수 있는 것이 많아지겠지요.
그런데, 이 돈에 대해 '교환' 이상의 가치를 찾을 수 있을까요?
돈의 존재 이유는 '교환'이지만, 그것을 사용하는 우리는 그 이상의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고 합니다.
바로 이 책 '심리학이 돈을 말하다'가 그것이 무엇인지 말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돈'과 '심리'와의 관계에 대해 연구하였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돈이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연구한 것이죠.
보통 '돈을 어떻게 벌어야 하는지'와 같이 '사람'이 주체가 되고 '돈'이 연구대상이 되는데, 이 책은 반대입니다.
'돈'을 주체로 놓고 그 돈에 대한 '인간들의 반응, 행동'을 연구하였습니다.
이런 특이성 때문인지 읽는 내내 무척 흥미로웠습니다.
단지 자신의 의견이나 주장을 피력하는 것이 아니라, 많은 실험과 연구 결과를 통해 증명하고 있습니다.
일상에서 벌어지는 일 가운데 좋은 일의 80퍼센트는 돈과 관계없지만, 비극의 80퍼센트는 모두 돈과 관련이 있다.
돈 때문에 행복해지지는 않지만, 돈 때문에 불행해질 수는 있습니다.
돈과 행복에 대한 상관관계가 없음을 말하는 이들에게 돈과 불행에 대해 어필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것 같습니다.
돈을 바라보는 시각이 예전과는 많이 달라졌습니다.
돈을 터무시하던 문화에서 이제는 완전 반대로 변했죠.
그래도 황금 만능주의까지는 안갔으면 좋겠네요.
돈을 제대로 쓰는 방법을 알아야 우리는 행복을 극대화할 수 있다.
소비란 좋으면서도 머리 아픈 일이다.
경제학자 조지 로웬스타인은 외국 여행을 하면서 돈을 아끼려고 시끄럽고 창이 좁은 기차를 타며 경치를 포기한 것을 예로 들었다.
그에 따르면 이는 절대 행복을 위한 올바른 소비가 아니다.
참 좋은 비유입니다.
아끼고 아껴서 좋은 곳으로 여행을 갔으면 그곳에서는 즐길 수 있어야 합니다.
근검, 절약이 나쁜 것이 아니라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는 그것은 구두쇠이고 수전노입니다.
근검, 절약은 더 크고 좋은 소비를 위한 방법임을 잊지 말아야 겠습니다.
큰돈이 생기고 나면 소소한 행복은 만족감을 얻는 데에 그다지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
계속해서 더 강렬한 자극을 받아야만 행복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마치 같은 롤러코스터를 열 번 타면 무섭기로 소문난 롤러코스터라도 더는 짜릿함을 느끼기 힘들어지는 것과 같다.
어쩌면 이런 심리가 점점 더 많은 재화를 얻기 위한 욕심을 만드는 원인일 것 같네요.
뛰던 사람이 걸을 때 느끼던 행복은 누워있던 사람이 앉아 있을 때 느끼는 불행보다 클 것입니다.
점점 더 큰 행복을 느끼기 위해 더 큰 자극을 원한다면 과연 그 끝은 어떨까요?
기부도 얼굴을 따진다고?
틀린 말이 아니다.
연구진은 기부에도 '뷰티 프리미엄'이라는 것이 있다고 말한다.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외적으로 더 나은 사람에게 도움을 주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기부한 돈이 어떻게 쓰이든, 누구에게 얼마를 기부했든, 결국 생김새는 모둔 문제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게 한다.
그렇지만 심사숙고 끝에 기부를 결정하는 사람들은 예외다.
흥미로운 내용입니다.
생김새가 기부에서도 효력을 발휘한다니....
점점 더 예뻐지고, 잘 생겨지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이유가 하나 더 생겼네요.
그래도 '심사숙고'라는 예외가 있고, 대부분은 예외가 아니라 일상입니다.
구세군과 같이 즉흥적인 기부가 아니라면 대부분 상당 시간 고민하고 생각하죠.
이는 기부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행동도 그러합니다.
그렇기에 외모보다 내면의 아름다움에 더 우선적으로 신경을 써야 합니다.
데드라인은 짧으면 짧을수록 좋다.
준비 시간이 충분하면 같은 일이라도 더 힘들게 느껴지고 예상 투입 시간과 돈의 양도 늘어난다.
훨씬 수월하게 할 수 있었던 일도 괜한 걱정 때문에 더 어려워질 수 있다.
준비하는 일이 힘들다면 원래보다 빠른 나만의 데드라인을 설정해 보자.
시간과 돈을 아낄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을 보고 생각해 보니 데드라인이 짧았어도 그리 나쁘지 않은 결과를 만들어 낸 것 같습니다.
물론, 시간대비 효율을 따졌을 때의 경우입니다.
시간과 자원이 많다고 반드시 더 나은 결과를 도출하지는 않습니다.
때로는 적절한 빈곤과 압박이 더 나은 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 사람을 알려면 그의 돈이 어디로 가는지를 보라."
경제학자 머턴 밀러의 말입니다.
지금 내 돈이 어디로 흘러가고 있나요?
바로 그것이 내가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고, 신경쓰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