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스 슈밥의 위대한 리셋 - 제4차 산업혁명 × 코로나19
클라우스 슈밥.티에리 말르레 지음, 이진원 옮김 / 메가스터디북스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단어 중 하나가 '제4차 산업혁명'이다.
이 단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이 바로 이 책의 저자 클라우스 슈밥이다.


저자는 우리가 흔히 '노보스 포럼'이라 말하는 세계경제 포럼의 창시자이다.
매년 스위스에서 개최되는 이 포럼에는 세계의 모든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인사들이 꼭 참가하고 싶어한다.
앞에서 말했듯이 저자는 '제4차 산업혁명'을 우리에게 설파했다.
이 책은 그것의 새로운 시리즈로 현재 진행중인 '코로나19'와 '제4차 산업혁명'이 만나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를 보여주고 있다.
그의 전작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시리즈의 최신작이라 보면 될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이란 말을 만들어낸 그가 이 책을 통해 전달하는 내용은 무엇일까?
간단하게 정리하면 '코로나 이후의 세상'이다.

지금까지 큰 어려움없이 지속적인 발전만을 거듭하던 인류에게 '코로나'는 '잠시 멈춤'이라는 의제를 던졌다.
이는 앞만 보고 달리던 인류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만들었다.
저자는 이를 '리셋'이라 표현하고 있다.

경제, 사회, 지정학, 환경, 기술과 같은 거시적인 관점에서부터 트랜드, 산업, 개인과 같은 미시적인 관점까지, 다양한 관점에서 '리셋'이 어떻게 이뤄져야 하는지를 말하고 있다.

'개인의 리셋'
그 출발이 놀랍게도 '인간성의 재정의'와 '도덕적 선택'이다.
마지막은 '우선순위의 변경'이다.
지금까지 마음속에서 가장 중시하던 일들의 순서를 바꿀 것, 즉 문명에 대한 시각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을 펼친다.
그 역시도 첫 번째로 중요한 것은 디지털 기술이 아니라 '창의성'임을 강조한다.

개인의 리셋에서 저자가 강조하는 것이 '인간성'과 '도덕'이다.
지금까지 인류 발전의 주요 기조는 기술의 발전이였다.
인간성이나 도덕보다는 기술의 발전이 우선이였다.
그런데 지금은 이 순서가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인간성과 도덕적 선택을 중시하면 현재와 다른 프레임의 관점이 생긴다.
이것이 곧 창의성이다.

코로나는 분명 인류의 발전에 큰 악재임이 분명하다.
하지만 이것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인류의 발전을 위한 토대가 될 것이다.
이 책은 분명 그럴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