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나무처럼 살고 싶다 (10만 부 기념 스페셜 에디션) - 30년간 아픈 나무들을 돌봐 온 나무 의사 우종영이 나무에게 배운 단단한 삶의 지혜 35
우종영 지음 / 메이븐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분야에서든 최고의 자리에 오른 사람은 다른 분야에서도 통한다고 했던가.
이 책의 저자 우종영님은 '나무 박사'이다.
젊은 시절, 성공을 위해 열심히 일했지만 오히려 실패하여 삶을 포기하려 했다.
그때 눈에 들어온 것이 바로 '나무'였다.

"나도 사는데 넌 왜 못 살아."

이렇게 말하는 듯한 나무를 보면서 다시 삶에 애착을 갖게 되었다.
그 이후로 나무를 친구로, 스승으로 삼아 자신의 업으로 삼았다.

이 책 '나는 나무처럼 살고 싶다'는 다양한 나무에 대한 저자의 생각을 담고 있다.


이 책에 대해서는 오래전부터 들어왔었다.
매번 '봐야지'라고 생각만 하고 있다가 이번에 스페셜 에디션으로 만나게 되었다.
무려 10만부가 팔린 스테디셀러이다.

책은 크게 2부로 나누어진다.
앞부분에서는 각 나무에 대한 특징과 저자와의 사연, 나무에 대한 저자의 생각을 보여준다.
추억이라 하면 특정 음악이나 장소에 얽매이게 되는데, 저자는 나무에 많은 추억이 있는 것 같다.
소개하는 나무 하나하나에 얽힌 추억들을 보다보니 나도 어릴 적 나무와 연결된 추억이 떠오른다.
이맘때면 잘 마른 대나무를 칼로 얇게 쪼개 연을 만들곤 했다.
최대한 가볍게, 하지만 강하게 만들기 위해 정말 신중하게 대나무를 골랐던 것 같다.

초여름, 진한 향기를 내뿜는 나무를 아카시아로 알고 있었는데 정식 명칭은 '아까시 나무'라고 한다.
가로수로 흔히 보는 은행나무는 동양에서만 서식한다고 한다.
이처럼 책을 통해 나무에 대한 상식도 배울 수 있었다.

뒷부분에서는 나무를 통해 얻은 인생의 지혜를 보여주고 있다.
이 부분이 이 책의 백미인 듯 하다.
주위의 흔한(?) 나무를 보고도 이렇게 다른, 깊은 생각을 하는 저자의 시각이 놀랍다.
이것이 이 책이 그토록 오랫동안 사랑받는 비결인 것 같다.

내 삶의 이정표가 되어 주는 쉼표들, 지금 어디까지 왔고, 앞으로 갈 길을 잘 찾아가고 있는지 숨 한번 돌리며 생각해 보는 여유가 그립다.
그리고 못내 그러지 못했던 세월이 안타깝다.

오리마다 있었다는 '오리나무'를 보며 든 생각이라고 한다.
나 또한 이런 여유를 그리워하며 그러지 못한 지난 시간이 안타깝다.
그런데... 막상 쉬려고 하면 그러지 못하겠다.
아직 놓지 못하는 욕심이 많은가 보다.

때로는 밉고 때로는 보기 싫을지라도 돌아서면 보고 싶어지는 누군가가 있다는 것, 그게 얼마나 커다란 삶의 축복인가.
삶은 어쩌면 끝없는 인연 맺기의 과정일지도 모른다.
한데 어우러진 채 끊임없이 서로를 타고 올라가는 등나무처럼 말이다.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전달하는 뜻은 다르지만, 이방원의 '하여가'가 생각나는 대목이다.
내 곁에 나를 감싸고 올라가는 그 누군가가 있다는 것이 내가 버텨야 하는 이유이고, 버틸 수 있는 힘이다.

생각해 보면 나무를 아프게 만드는 가장 큰 요인은 사람들의 '조급함'인 것 같다.
조급한 마음에 약도 치고 함부로 가지도 잘라 낸다.
그리고 그냥 두어도 될 나무에 영양제를 놓고, 거름도 듬뿍 안겨 준다.

'빨리빨리'의 부작용이다.
시간이 약이고, 기다림이 답임을 알고 있으면서도 기다리지 못한다.
'지금 바로' 무언가를 얻고자 하는 마음을 버려야 한다.
'때로는' 그래야 한다.

시간적, 물질적인 기다림이 아닌, 마음이 더해지고 정신적인 노력이 들어가지 얺는 기다림은 의미가 없다.
아니 그 의미가 오래가지 못한다고 해야 옳겠다.
나는 가끔 나무를 보면 되뇌인다.
내가 눈앞의 이득만 따지고 있지는 않은지, 잘못된 기다림으로 마음을 허비하고 있지는 않은지, 그저 편한 길만 바라보고 있지는 않은지...
나는 오늘도 나무를 치료하며 기다림의 미학을 배운다.
일등은 아닐지라도 마지막 결승선은 내 두 발로 넘고 싶으니까.

'정신적인 노력'이 들어가지 않은 기다림.
기다림을 아무 생각없이 시간을 흘려 보내는 수동적인 것이 아니라, 기다려야 하는 이유를 알고 그것을 지켜주는 적극적인 것으로 표현하고 있다.
같은 단어를 이렇듯 완전히 다른 의미로 바라보게 만들다니...

버리는 것의 고통은 분명 크다.
버리기 이전에, 어떤 것을 버리고 어떤 것을 취해야 할지 판단하는 것부터가 힘이 든다.
내 삶에 그다지 중요한 게 아니더라도 막상 포기하려면 다시 보게 되는 게 사람 마음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것이 집착해 봐야 소용없는 일이라면, 그래서 어차피 버려야 할 것이라면, 버리는 순간만큼은 나무처럼 모질고 냉정해야 한다.
그렇게 어떤 미련도 남지 않았을 때, 겨울을 넘기 봄 나무가 그러하듯 비로소 나 자신을 더 크고 풍성하게 키워 갈 수 있다.
버리고 비워내는 만큼 비로소 다른 무언가를 받아들일 준비가 이뤄지기 때문이다.

풍성한 나뭇잎을 가을에 떨구는 것은 겨울을 나기 위함이다.
잎을 버림으로써 봄에 새로운 잎을 돋아나게 할 수 있다.
새로운 것을 얻기 위해서는 지금 가지고 있는 것을 버려야 한다.
이것은 '버림'이 아니다.
새로운 것을 '얻기' 위한 과정이다.

사람들은 노력하면 얼마든지 바꿀 수 있는 일임에도 불구하고 조그만 어려움이 닥쳐도 마치 숙명인 양 체념해 버린다.
그리곤 그 탓을 주위로 돌리며 이렇게 말한다.
"도저히 어쩔 수 없어. 이건 내 힘으로 불가능한 일이야."
맘먹은 것이 있다면 포기하지 마라.
그것이야말로 나무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

척박한 환경에서도 꿋꿋이 살아가는 나무를 보라.
바위틈에 뿌리 내리는 것이 싫다고, 그늘진 곳에 있는 것이 싫다고 움직일 수 없다.
그 환경에서 최대한 자신이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그에 비하면 환경을 바꿀 수 있는 우리는 얼마나 행복한가.
이것이 바로 저자가 말하는 '나무에 대한 예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