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젊은 리더들을 위한 철학수업 - 불안의 시대, 자기 철학이 있는 자만이 미래를 열 수 있다
케이반 키안 지음, 서나연 옮김 / 힘찬북스(HCbooks) / 2020년 12월
평점 :
세상이 복잡하고 어렵다고 느껴질 때 가장 생각나는 것은 ‘종교’와 ‘철학’이다.
철학이 세상보다 더 복잡하고 어렵다고 느낀다면 이 책 ‘젊은 리더들을 위한 철학 수업’을 읽어보길 바란다.
이 책의 구성이 독특하다.
책이라기 보다는 곁에서 강의를 듣는 듯한 기분이 들게 한다.
문체도 구어체에 가깝게 느껴진다.
저자가 이 책을 통해 우리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것은 특정 철학이 아니다.
살아오면서-혹은, 살아가면서- 한번쯤 느꼈을 생각이나 고민을 질문을 통해 자연스럽게 털어놓게 만든다.
위와 같이 질문을 계속 던지고, 그 답을 책에 직접 적게 하고 있다.
연습문제에 답을 적다 보면, 숙제를 하는 기분이 든다.
나만이 채점할 수 있는, 나만의 문제에 대한 숙제.
마지막에는 아래와 같이 깔끔하게 저자가 말한 내용을 정리해서 보여주고 있다.
뷰카 환경에서 성공한 사람들이 특유의 사고방식을 공통분모로 가진다고 생각해보자.
어떤 태도가 그에 걸맞은 사고방식이 될 수 있을까?
그것은 바로 고대 스토어학파에서 가르쳤던 마음가짐이다.
간단히 설명하면 그 태도의 본질은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것에 철저히 집중하는 것'이다.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은 내가 통제할 수 있는 것인가?
‘통제한다’란 말은 ‘내 것’이란 의미이다.
‘가능’의 여부가 아니라 ‘통제’의 여부에 집중해야 한다.
'가능'한 일을 할 것이 아니라, '통제'할 수 있는 일을 해야 한다.
'내 통제 밖에 있고, 내게 중요하지 않은' 것에 따라 살아가는 사람들도 있지만, 기업가들은 "나는 내가 가진 것으로 할 수 있는 것을 한다."라고 말하곤 한다.
이것은 자신의 삶에 관심을 가지는 사고방식이다.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고, 모든 생각과 노력과 에너지를 자신에게 효과적인 방식으로 하는 것이다.
위의 글과 맥락을 같이 한다.
이 책을 통틀어 가장 의미있게 다가온 글이다.
모두들-당연하겠지만- 자신의 삶에 관심이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행동을 보면 '정말 그런가?'란 생각이 들 때가 있다.
어떻게 하고 싶은 일만 하고 사냐고 말하는 이들도 있다.
맞다.
그런데.. 하고 싶은 일을 아주 조금이라도 ‘정말’ 하고는 있는가?
글을 읽는 시간보다 생각한 시간이 더 많았던 책이다.
많은 문제를 보았고, 답을 찾느라 많은 생각을 한 것 같다.
몇몇 문제는 아직 답을 찾지 못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내가 알려주고 싶은 철학이 이것이다'라고 말하고 있지 않다.
소크라테스의 문답법처럼 질문을 통해 스스로 자신의 철학을 찾기를 바라고 있다.
나만의 철학을 갖는다는게 결코 쉽지 않다.
그럼에도 도전해야 하는 이유는 그 이상의 가치가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 이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