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술의 본질 - 현실은 전쟁이다, 지휘관은 어떻게 결단할 것인가 지적생활자를 위한 교과서 시리즈
기모토 히로아키 지음, 강태욱 옮김 / 보누스 / 2020년 12월
평점 :
절판


최고의 경영서, 최고의 자기계발서 중 하나로 손자병법을 꼽는다.
전쟁과 군사에 대한 내용을 담은 손자병법이 어떻게 경영, 자기계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까?
혹시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 전쟁터가 같기 때문이 아닐까?
이 책 '전술의 본질'도 인생이라는 전쟁터에서 승리를 이루기 위해 보기 시작했다.


저자는 군사학 연구 전문가로 자신이 배운 군사학을 비즈니스로 접목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책은 온전히 군사, 전쟁, 전투에 대한 이야기만을 담고 있다.
본인이 알고 있는 군사학에 대한 내용만을 보여주고 있다.
2~3페이지 내외로 상황에 맞는 일러스트와 함께 설명하고 있어 조금 딱딱해 보일 수 있는 군사학에 대한 내용을 쉽게 읽을 수 있었다.
일반인들이 보기에 부담스러지 않을 정도의 분량과 깊이이다.

일반인을 독자 대상으로 하는 군사학 책들은 대부분 경영이나 자기계발에 대한 내용을 함께 다루고 있다.
그런데 이 책은 전쟁을 경영에 비유하고, 군사 다루기를 리더십에 접목하는 글은 단 한 줄도 없다.
내가 보기에도 비즈니스나 자기계발과 결부시켜 보여줄 수 있는 내용이 꽤 많아 보인다.
그럼에도 왜 그러지 않은 것일까?
보는 사람의 시각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 여지를 남겨놓은 것이 아닐까란 생각을 해 본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능력, 자원에 따라 때로는 정공법이, 때로는 우회법이 필요할 것이다.
'얼마나 많이 알고 있느냐'보다는 적재적소, '얼마나 제대로 적용하느냐'가 더 중요하기에 독자 스스로 알아가기를 바란 듯 하다.

피터 드러커의 미공개 강의노트에는 "위험과 불확실한 일로 가득찬 수천 년의 역사 속에서도 군대에는 수많은 지혜가 이어져 왔고, 그 대부분은 군대 이외의 조직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적혀 있다.
드러커가 말하는 지혜란 전쟁의 원칙이다.
전쟁의 원칙은 약 2,600년 동안 인류가 벌인 수많은 전쟁과 투쟁의 역사에서 귀납적으로 도출된 원칙이다.

책 서문에 있는 글이다.
유일하게 군사학 이외의 내용을 다루고 있는 글일 것이다.
나 또한 이와 같은 목적을 가지고 이 책을 읽기 시작했고, 어느 정도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다고 생각한다.

목표 달성으로 이어지지 않는 행동은 피해야 한다.
지휘관이 목표를 명확히 하면 가장 중요한 임무에 전투력을 효과적으로 집중할 수 있다.
명확한 목표는 개인의 자주 적극성인 주도권을 장려하는 효과도 있다.

자원의 효율성을 강조하는 글이다.
하지만 그 속에는 지휘관의 정확한 목표 설정을 독려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목표 설정이 되어 있지 않으면 자원의 효율성은 결코 이루어질 수 없다.
무언가 '열심히' 하기를 바라지 말고, '제대로' 하고 있는지를 검토해 보게 만드는 글이다.

일반적으로 목적은 추상적인 개념, 목표는 구체적인 개념을 표현하는 용어로 사용한다.
목표는 목적에서 발생하므로 목표의 전제는 목적을 확립하는 것이다.

내가 이루고자 하는 많은 목표. 
이 목표는 목적을 올바르게 표현하고 있는가?
목적은 정말 내가 이루고자 하는 것인가?
목표를 이루기 위한 행동을 통해 다시 목적을 생각해 보게 한다.

앞서 말했듯이 경영, 자기계발과 직접적인 글은 없지만 간접적으로 많은 것을 생각하고 깨닫게 한다.
책을 볼 때마다 다른 생각이 들 것 같다.
왜 손자병법이 경영, 자기계발에 도움이 되는 책인지 이 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