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 쓸모 - 시대를 읽고 기회를 창조하는 32가지 통찰
강은진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컨셉이 독특하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미적사고'를 강조하고 있다.
'예술'을 통해 인생에 도움이 되는 내용들을 보여주고 있다.


책을 보면서 '예술이 이토록 우리와 가깝게 있었나'란 생각이 들었다.
지금까지 나에게 예술이란 고상하고, 어려운 것이었다.
그런데 이 책을 보면서 예술, 특히 미술작품을 통해 그 어떤 고전에 못지않게 인생에 도움이 되는 지혜를 얻을 수 있었다.
미술 작품보다는 작품에 대한 해설과 작가의 배경 설명을 잘 해준 작가 덕분일 것이다.
'아는만큼 보인다'라는 말이 체감된다.

지금 세대에게 가장 많이 강조하는 것은 '창조'이고 '혁신'이다.
인상파 화가들을 통해 창조와 혁신에 대한 생각을 더 넗힐 수 있었다.
미술사 최고의 마케팅은 고흐가 아닐까 싶다.
생전에 동생의 지원으로 근근이 살아가던 고흐.
스스로 목숨을 끊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 우리에게 굉장한 화가로 알려졌다.
바로 동생 부인의 열정적인 마케팅 덕분이다.
어려운 환경에서도 자기만의 화풍을 지켜가는 화가, 그 화가를 지원해주는 동생.
이들의 수많은 편지는 스토리텔링의 완벽한 자료였다.

"미술관에 가서 작품을 어떻게 감상해야 할까요?"
그럴 때 제가 추천하는 미술관 감상법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멀리, 그다음엔 가까이서 작품을 감상하는 겁니다.
먼저 멀리서 전체적인 분위기를 느끼고, 그 다음에는 작은 디테일 하나하나에 주목하면서 자신만의 재미 요소를 찾는 것이지요.

미술관에 가면 굉장히 어색하다.
작품 감상법이야 개인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나처럼 작품 감상을 못하는 분들에게는 좋은 가이드이다.
그냥 감상 흉내내기는 이제 그만해야겠다.

오늘날 많은 디자이너가 추상 작품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며 고백하고 있고, 패션이나 인테리어 분야에서도 추상은 확고하게 자리를 잡은 지 오래입니다.
추상작품이 들어선 공간은 뭔가 다른 기운을 발산합니다.
추상의 의의는 이처럼 감상자가 대상에 대해 생각하게 만드는 게 아니라, 스스로 자유로운 사고를 하게끔 돕는 데 있습니다.
예술의 배경지식을 배워야 한다는 의무감에서 벗어나, 그저 점, 선, 면, 색을 자유롭게 감상하면서 영혼을 자극하는 울림을 편하게 느끼시기를 바랍니다.

추상작품만큼 작품 해석이 어려운 것이 잇을까?
피카소의 작품을 보고 '멋지다'라는 생각이 못한 것은 나뿐일까?
그런데 추상작품에 대한 감삼법은 다르다.
작가가 직접 무언가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감상자가 스스로 생각을 해야 하는 것이다.
기존의 회화들이 소극적인 감상이였다면, 추상 작품은 적극적인 감상이 필요하다.


르네 마그리트의 '이미지의 반역'이라는 작품이다.
파이프 그림 밑에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라는 글이 있다.
작가는 이 그림을 통해 제시하는 메시지가 너무 인상적이다.

구상화가 눈에 보이는 것을 그대로 이해하라고 말하고, 추상화는 눈에 보이는 것 너머를 이해하라고 말하다면, 마그리트는 눈에 보이는 것을 계속 의심하라고 말합니다.

눈에 보이는 것을 의심하라.
정말 멋진 화두이다.
이전에도 몇번 보았던 작품이였는데 그 당시에는 유치하게 보였는데 지금은 너무 달라보인다.
가품이라도 집에 걸어놓고 싶은 작품이다.

현실과 가상, 원본과 복제에 관한 복잡한 논의는 일단 차치하고서라도, 복잡한 사회일수록 더욱 중요해지는 가치가 있습니다.
바로 자신만의 관점을 기르고, 스스로 판단하는 습관을 기르는 일이지요.
자신만의 기준을 내면에 단단하게 가지면서, 종종 세상의 기준에 '아뇨'라고 당당하게 말할 수 있는 반역의 시선, 그것이 바로 우리가 마그리트와 팝아트 작품에서 배울 수 있는, 오늘날 꼭 필요한 관점이 아닐까요.

나만의 관점으로 볼 수 있는 힘.
지금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아닐까?

이외에도 다양한 작품과 미술사를 통해 인생, 경영에 도움이 되는 이야기를 많이 볼 수 있다.
이 책을 보고 작품을 보니 이전과는 달리 보이고, 저자가 설명해준 디테일한 부분에 눈이 간다.
왜 작품을 소장하는지 조금은 알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