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롱텀 씽킹 - 와튼 스쿨이 강력 추천하는 전략적 사고법
데니스 C. 캐리 외 지음, 최기원 옮김 /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 / 2020년 5월
평점 :
절판
지금의 경영환경은 단기적 성과를 중요시 하는 분위기다.그냥 단기가 아니라 초단기이다.
한분기라도 성과가 좋지 못하면 CEO가 바뀌고, 임원의 자리도 위태롭다.
그렇기에 길게 보지 못하고-사실은 '안하고'가 맞을 것이다- 짧게 성과를 낼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쉽게 말하면 꾸준한 운동으로 체력을 기르는 것이 아니라 스테로이드와 같은 약물처방으로 임시로 효과를 낼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지속되면서 점점 피로나 휴유증이 쌓이고... 결국에는 완전히 무너진다.
엔론사태를 단순한 회계부정으로 볼 것이 아니라, 성과에 대한 지나친 압박을 부정한 방법을 통해서라도 해결하고 싶었던 것이다.
이 책의 저자들은 와튼 스쿨, 메캔지와 같은 세계적인 학교, 기업 출신으로 지금의 단기적 성과만을 추종하는 기업보다 장기적 사고를 가진 기업들이 더 성공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책 앞부분에서는 포드, 유니레버, 3M등 장기 전략을 통해 성공적으로 부활한 기업들을 소개하고 있다.
각 기업들의 회생방법은 달라도 그들이 추구한 전략의 공통점은 단기가 아닌 장기적으로 봤다는 것이다.
장기전략을 통해 성공한 회사들의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그 효용성에 대한 믿음을 준다.
그리고 장기전략이란 무엇인지, 어떻게 하는 것인지를 설명하고 있다.
다른 책들은 자신들의 주장이나 개념을 먼저 설명하고 후에 예를 제시하는데 이 책은 앞부분에 실제 사례를 언급함으로써 장기전략에 대한 호기심이 생기게 만든다.
저자들이 말하는 장기전략의 원칙은 아래와 같다.
장기전략을 위한 4가지 원칙
1. 조직을 위해 이윤창출보다 원대한 목적을 세워라.
2. 그 목적을 장기적 사업전략으로 녹여낸 후, 이시회와 투자자들에게서 강력한 지원을 받아라.
3. 장기적 목표를 기준으로 기업이 성과를 내는지 이사들과 투자자들이 이해하도록 EPS나 단기재무성과 외에 여러 측정 지표를 만들어라.
4. 마지막으로 장기전략이 적절히 실행되도록 장기적인 내실성장에 항상 집중하는 문화를 키워나가라.
사실 지금의 경영환경에서 위와 같은 전략을 제시했을 때 믿고 지지해 주는 이사회나 오너가 몇이나 될까?
분명 좋은 방법인줄 아는데, 옳은 말인것도 아는데, CEO나 임원들도 계약직(?)인 상황에서 그들이 자신의 자리를 걸고 장기전략을 추진할 수 있을까란 의문이 든다.
계약연장을 위해 지금 당장 효과를 볼 수 있는 스테로이드만 찾지 않을까?
좋은 기업이라면 창업자나 CEO보다 더 오래 존속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성장해야 하고, 그 성장을 위해서 꾸준한 개발과 변화를 주어야 한다.
이것이 장기 전략을 만들고 추진해야 하는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