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30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리스토텔레스.

서양 철학을 논할 때 빠질 수 없는 인물이다.
고대 그리스 철학은 소크라테스부터 시작하여 플라톤,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가 남긴 '연설'에 관한 책이 있으니 바로 이 책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이다.


책 이름이 굉장히 생소하다.
수사학이라는 단어도 자주 접하는 단어도 아니고...

우선 '수사학'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수사학은 다른 사람을 설득하기 위한 언어기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한다. (책 소개 참조)
당시 그리스는 초기 민주주의 사회였으며 대부분의 분쟁이나 토론은 아고라에서의 연설을 통해 대중들의 인기투표로 결정되었다.
그러했기에 논리의 타당성보다는 인기를 받을 수 있는 연설 방법을 강조하는 소피스트들의 변증학이 번성하였다.

변증학은 절대적인 참과 거짓을 다루는 반면, 수사학은 개연적인 참과 거짓을 다룬다는 사실은 대단히 중요하다.
사실 소피스트 수사학과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의 결정적인 차이는 전자는 어떤 수를 써서라도 청중이 자기주장을 받아들이게 하기 위해 주로 감정에 호소하는 반면, 후자는 개연성을 증명하는 것이야말로 설득이 중심이라고 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수사학은 변증학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것들, 즉 개연성을 증명하는 데 동원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사용한다.
그래서 수사학에서는 역사적인 사례, 금언, 기존 판례, 다수 또는 지혜로운 자들이 인정하는 견해와 증표도 결론 도출을 위한 전제로 사용된다.

이 책을 옮긴 박문재님의 해제에 있는 글이다.
책 뒷부분에 있는 글인데 오히려 서두에 있었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
해제를 먼저 읽고 본문을 읽었더라면 더 많이 이해할 수 있었을 것 같다.

책은 크게 3권으로 나누어져 있다.
1권에서는 수사학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주로 이야기하고, 2권에서는 인간의 감정과 삼단논법에 대해, 마지막 3권에서는 문체에 대해 말하고 있다.
연설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어떻게 청중의 호응을 얻을 수 있는지, 그러기 위해 어떻게 말을 하고, 글을 써야 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고 있다.

진정한 삼단논법과 사이비 삼단논법을 가려내는 것이 변증학의 역할이듯, 진정 설득력 있는 것과 설득력 있게 보이는 것을 구분하는 일이 수사학의 역할이기도 하다.
결국 궤변이냐 아니냐는 능력의 문제가 아니라 의도의 문제다.
변증학에서, 궤변론자는 의도만 있으면 얼마든지 될 수 있지만, 변증가는 의도가 아니라 능력이 있어야 가능하다.
반면에 수사학에서는 지식을 따랐을 때나 의도를 따랐을 때나 연설가로 통한다.

당시에 유행하던 변증학과 수사학의 차이를 말하고 있다.
설득을 위한 논리와 증거를 제시하는 능력을 가진 사람은 연설가이고, 그러하지 않고 단지 설득을 위한 의도만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변증론자라고 말하고 있다.
이 부분은 지금 우리시대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누가 변증론자이고, 누가 연설가인가?
소크라테스의 독배는 2000년 전의 사건이라고 치부하면 끝일까? 
지금도 누군가 그 독배를 들고 있는 것은 아닐까?

문체가 무미건조해지는 이유는 네 가지다.
첫 번째는 합성어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이색적인 단어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세 번재는 길거나 상황에 맞지 않거나 진부한 수식어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네 번째는 부적적한 은유가 있기 때문이다.

글쓰기에 관심이 있어서 이 부분을 몇번씩 다시 읽었다.
서평을 비롯한 다른 글쓰기에서도 많이 참조하고 조심해야 할 부분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해서는 많이 들었지만, 글은 처음 보는 것 같다.
연설이 아니더라도 대화나 글쓰기에 많은 도움이 될 책이다.

예나 지금이나 설득은 우리 삶의 중요한 요소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