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모델을 혁신하는 5가지 길 - 5 BM-innovation ways
은종성 지음 / 책길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사업에 도전하고 있다.

새로운 유행을 쫓는 사업도 있고, 기존에 없는 아이템을 만드는 사업도 있다.
그 어떤 사업이 되었든-조용한 동네의 식료품점이든, 대도시의 금융회사든- 각자 자신들이 추구하고자 하는 비즈니스 형태가 있다.
사업의 특징을 잘 살릴 수 있는 형태도 있긴 하지만, 기존의 사업 형태와 완전히 다른, 새로운 형태를 보여주기도 한다.
이 모두를 비즈니스 모델이라 한다.

비즈니스 모델이란, 무엇을 만들고, 서비스하고, 팔 것이냐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을 왜,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설명해주는 것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4가지와 이 모두를 융합한 모델을 소개하고 있다.
서로 반대되는 2가지 비즈니스 모델 '경쟁 관점의 혁신', '비경쟁 관점의 혁신'과 '내부역량 관점의 혁신','고객경험 관점의 핵심', 그리고 이들을 모두 융합한 '비즈니스 모델 혁신'이다.
아래 그림은 이들의 관계를 잘 보여주고 있다.


세상의 모든 비즈니스를 이 5가지 모델로 설명할 수는 없을지 모르지만, 대부분은 이들 중 하나일 가능성이 높다.

이 책은 각각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그 어떤 책보다 잘 설명해 주고 있는 것 같다.
해당 모델의 특징, 사용하는 기술, 적용한 기업 등 다양한 것을 알려주고 있다.
무엇보다 장점뿐만 아니라 단점까지도 숨김없이 알려주고 있기에 우리가 무엇을 피해야 하고, 무엇을 취해야 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각각의 모델은 명확한 장점을 가지고 있고, 해당 관점에서는 막강한 영향력을 끼칠 수 있다.
문제는 비즈니스 현장에서는 이렇게 딱 떨어지는 모델을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적절하게 잘 융합된 모델을 사용해야 한다.

기업이 이익을 실현하려면 앞으로는 경험가치를 디자인해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도 단순히 제품의 판매만을 위해 소비자에게 부가적으로 경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는 성공할 수 없다.
제품 차원을 넘어 기업 전체 차원에서 비즈니스모델 전략을 짜야 한다.

하나의 제품의 성공을 위해서가 아니라 기업이 소비자에게 궁극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 비즈니스모델이다.

여기서 놓치지 말아야 할 점은 기술적 우위를 추구하느라 '사람'을 놓쳐서는 안 된다는 사실이다.
결국은 사람 사는 세상이다.
모두가 연결되는 환경이 변화 속에서도 기업과 개인은 '사람 중심'으로 전략을 세워야 한다.
지금까지 그랬던 것처럼 사람이 모든 것의 출발점이자 종착점이기 때문이다.

잊지 말아야 할 교훈이다.
그 아무리 훌륭하고 좋은 기술이더라도 결국 그것을 사용하는 것도, 혜택을 보는 것도 '인간'이다.
인간이 더 편리하고, 편안하기 위하여 만드는 것이 기술임을 잊어서는 안된다.

혁신(innovation)의 사전적 의미는 "새로운 방법이나 아이디어, 제품 등을 도입해 묵은 것을 완전히 바꾸는 행위"이다.
혁신의 대상이나 수단이 하이테크일 필요는 없다.
우리가 당연히 그렇다고 생각하는 것이야말로 혁신의 대상임을 알아야 한다.

내가 생각하고 있던 혁신에 대한 잘못된 생각을 깨우쳐 주는 글이다.
혁신은 묵은 것을 바꾸는 것이지, 꼭 기존에 없던 것들을 만들어 내는 것은 아니다.
여태까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바꿀 생각을 하지 않고, 그렇지 않은 것들을 바꾸려고만 했던 것 같다.

많은 비즈니스모델이 있지만, 적어도 이 책에서 언급한 4가지 모델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에 소개한 이 4개의 다이나믹한 융합을 통한 모델은 더 많은 시간을 가지고 곰곰히 생각해 봐야 할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