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희망 버리기 기술 - 엉망진창인 세상에서 흔들리지 않고 나아가는 힘
마크 맨슨 지음, 한재호 옮김 / 갤리온 / 2019년 9월
평점 :
저자의 전작 '신경끄기의 기술'을 보면서 그의 시원한 문체에 매료되었다.성공을 위해 '무엇'을 더하기 만을 가르치는 시대에 과감히 버리라는 메시지를 곁에 있는 친구에게 하듯이 편안하게 말해 주었다.
이번 책에서는 희망을 버리는 기술을 말해 주겠다고 한다.
우리가 살아가는 이유이고, 목적일수도 있는 희망을 버리라고?
역시 저자답다.
그럼, 희망을 버리고 무엇을 쫓아야 하는가?
바로 '고통'이다.
고통을 통해 우리는 지금보다 더 나아지고 성장한다.
그런 성장을 위한 행동이 불필요한 희망만 가지고 있는 것보다 훨씬 낫다.
저자는 그런 의미에서 희망을 버리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거나 담배 끊는 법을 지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경우는 드물다.
우리는 머리로 그것이 왜 문제인지 이해한다.
문제는 감정 뇌의 어딘가에서 우리가 그런 것을 할 가치가 없다고, 우리가 자격이 없다고 결정해 버린다는 것이다.
그것이 우리가 속상한 이유다.
감정 뇌의 이런 형편없는 오류만 없었다면 우리는 무엇이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감정 뇌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우리가 이성적인 기계가 아닌 따뜻한 감정을 지니고 있는 인간이라는 것을 증명한다.
쾌락을, 편안함을 추구하는 본성을 이기고 불편함을 선택할 수 있는 용기와 인내를 가진 사람이 더 많은 것을 이루고, 성취한다.
결국 그들이 성공하는 것이다.
희망의 문제는 그것이 거래라는 사실이다.
열심히 일하고 돈을 모으면 행복해질 것이라는,
상상 속의 미래를 대가로 놓고 현재의 행동을 흥정하는 것이다.
한번도 이런 생각을 해 본 적이 없다.
어떻게 희망을 거래라고 생각할 수 있을까?
희망이란 다른 말로 표현하면 이렇지 않을까.
불확실한 미래의 결과를 기대하고, 현재의 행복을 포기 또는 연기하는 것.
지금 놀고 싶은 것을 참고 공부하면 좋은 대학에 갈 수 있을꺼야.
사고 싶은 것, 먹고 싶은 것을 아껴서 저축하면 나중에 부자가 될 수 있을꺼야.
몇 번의 휴가를 더 모아서 한꺼번에 사용하면 더 멀리, 좋은 곳으로 갈 수 있을꺼야.
이렇게 해서 정말 좋은 대학에 가고, 부자가 되고, 좋은 사람과 함께 시간을 많이 보낸는가.
그렇지 않다면 지금 자신이 생각하는 희망에 대해서 진지하게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희망인지, 꿈인지...
유일하게 진정한 형태의 자유, 유일하게 윤리적인 형태의 자유는 자기 제한을 거친 것이다.
이것은 삶에서 원하는 모든 것을 선택할 특권이 아니라, 오히려 삶에서 포기할 모든 것을 선택하는 것이다.
언젠가 본 글귀가 생각난다.
자유란, 무언가를 더 할 수 있는 특권이 아니라, 무언가를 하지 않을 수 있는 여유를 가질 수 있는 것이라고.
앞으로 열심히 달려가다가 갑자기 앞으로 푹 꼬꾸라지는 느낌이 들었다.
내가 왜 달리고 있는지 모르는 기분이었다.
무언가를 안 할 수 있는 용기, 버릴 수 있는 여유, 가만히 있어도 느끼는 편안함.
이것이 자유다.
더 나은 것을 희망하지 마라. 그냥 더 나아져라.
저자가 이 책을 통해 전달하고픈 메시지는 바로 이것이다.
그냥 작년보다, 어제보다 더 나아지기만 하면 된다.
나아지기 위해 지금 움직여라.
행복해 지고 싶다는 희망을 그리지 말고, 그러기 위해 더 나아지기 위해 당장 행동하라.
그것이 희망을 버리는 기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