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스 사이언스 - 프랑켄슈타인에서 AI까지, 과학과 대중문화의 매혹적 만남 서가명강 시리즈 2
홍성욱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또 한 권의 서가명강 시리즈를 만났다.

'서가명강'은 '서울대를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의 줄임말이다.
서울대 교수님들의 명강의를 책으로 만날 수 있는 멋진 시리즈이다.

이번에 본 책은 '크로스 사이언스'이다.


제목에서 짐작하겠지만 사이언스에 관련된 내용이지만 결코 사이언스만을 말하고 있지 않다.
중요한 것은 바로 '크로스'이다.
'과학'과 '인문'이 어떻게 융합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문학, 영화를 통해 그 안에서 보여준 과학을 소개한다.
단순한 과학의 원리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만들어지고-발견되어진- 계기부터 진행과정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문학의 줄거리를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출간될 당시의 사회상이나 과학의 발전 등을 함께 보여주어 좀 더 작품의 내밀함에 가까이하는 기분이 든다.
과학과 인문의 융합이라는 것이 결코 쉽지 않았을텐데 정말 멋지게 잘 보여주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대중문화, 세상, 인간, 인문학과 결합된 과학을 문학작품, 영화에서 시작해서 그것들이 제시하는 것들의 과학에 대해 설명한다.
모두가 매력적이였지만 특히 '세상'에 대한 과학의 설명은 너무 가슴에 와 닿았다.

지금도 과학의 이름으로 우등과 열등을 나누려는 시도는 계속되고 있다.
누가 우리를 멸시하면 발끈하지만, 우리가 유전적으로 우수하다고 하면 으쓱댄다.
...
사이비과학은 이런 마음을 비집고 자라난다.
...
사이비과학의 정반대는 신중한 과학일 텐데, 신중한 과학은 인종의 자연적 차이, 인간성과 지능의 유전적 차이, 고정된 성차에 대해서 회의적이다.
과학이야말로 성공이란 깃발을 찾아내기 위해서 할 수 있는 것은 다양하면서도 많은 실패일 것이다.
깃발을 찾기 전까지의 과정을 사이비과학이라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그 '사이비과학'을 근거로 흑과 백을 나누려고 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생각해 본다.


18~19세기 사이비과학은 자취를 감추었지만, 과학이 만들어내는 차별이 사라진 것은 결코 아니다.
우리는 새로운 차별에 대해서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한다.
새로운 차별은 항상 더 과학적인 것처럼 보이고, 더 은밀하게 우리의 허영심을 비집고 들어오기에 그렇다.

'과학이 만들어내는 차별'을 믿는 것이 아니라, '차별을 할 근거로 과학'을 차용하는 것은 아닐까?
비단 과학뿐이겠는가?
내가 믿고 싶은 것, 하고 싶은 것, 보고 싶은 것을 정당화하기 위해 얼마나 다양한 '사이비'를 만들어 내고 있는가?

과학으로 시작한 이 책은 나에게 인문학적 질문을 남기고 있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또다른 길을 나서야 할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