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들은 무엇에 집중하는가 - 성장 기업의 세 가지 조건
신경수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7월
평점 :
이 책은 경영에 대한 책이지만, 저자는 HR전문가이다.
창업자나 경영 컨설턴트들이 쓴 책은 많이 보았지만, HR의 관점에서 바라본 경영서는 낯설다.
경영의 3대 요소로 사람(Man), 돈(Money), 물자(Meterial)이라고 하지만 사람은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다루는 HR은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받는듯 보인다.
그렇기에 HR 전문가의 관점에서 바라본 성공 기업의 요인이 더욱 궁금해졌다.
이 책에서도 몇번 언급되는 문구 중 하나인 안나 까레니나의 첫 문장, '행복한 가정은 모두 다 엇비슷하고, 불행한 가정은 저마다 이유가 다르다'는 '가정'대신 '기업'을 대입해도 맞는 말이다.
성공한 기업은 그들의 공통점이 있고, 실패한 기업은 저마다의 이유가 있다.
저자는 성공기업의 3대 요소로 아래를 꼽고 있다.
- 변화의 수용
- 방향의 공유
- 리더의 사명
좋은 비즈니스 모델과 풍부한 자금, 뛰어난 인력으로 순간의 성공을 만들수는 있다.
하지만 기업은 한순간의 성공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성공을 이뤄야 한다.
이를 위해 변화하는 사회에 맞춰 기업도 바뀌어야 하고, 그 변화에 대해 회사의 모든 인원이 제대로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리더는 변화를 올바르게 분석해야 하고 방향을 지시할 수 있어야 한다.
예전에 우리나라와 서양의 전쟁의 차이를 표현한 이미지를 보았다.
서양은 장군이 앞에 서서 '나를 따르라'라고 하고 있고, 우리나라는 제일 뒤에서 '공격하라'를 외치고 있다.
단지 전쟁뿐만 아니라 기업의 분위기도 이와 흡사한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에 무척이나 씁쓸했던 기억이 있다.
지금은 뒤에서 공격하라고 외치는 리더가 아니라 제일 앞에서 솔선수범하는 리더가 필요한 시대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마법의 비결을 말하고 있지 않다.
경영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한번쯤 보고 들었을 내용을 다시 말해주고 있다.
바쁘다는 이유로, 나만 살아났겠다는 이유로 미루거나 외면했던 것들을 이제는 적극적으로 해야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것이 궁극적으로 덜 바쁘고, 함께 살아나는 이유가 될 것이다.
"성공이란 것은 내가 좋아하는 것, 내가 즐기는 것, 내가 잘하는 것, 혹은 내가 가치있다고 느끼는 것을 추구하는 것."
이금룡 회장이 저자와의 인터뷰에서 말한 것이다.
성공을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 그렇지 못하다면 위 문장에 대해 곰곰히 생각해 봤으면 좋겠다.
단지 돈을 잘 번다는 이유로, 미래에 유망하다는 이유로, 남들이 좋다고 하는 이유로 지금 이 일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저 문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좋아하는 것, 즐기는 것, 잘하는 것, 가치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나'인 것 같다.
그 누군가가 아닌 '내'가 그렇게 생각하고 행동해야 '내'가 성공한다.
그렇지 않다면 '누군가'의 성공을 도와주고 있는 것 뿐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