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꿈의 실크로드를 찾아서
심형철 지음 / 포스트휴먼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그곳이 어떤 곳인지도 모르면서 멋모를 기대감에 부풀어 올라 그 미지의 공간을 탐미했던 나에게, 더 이상 실크로드는 꿈이 아니라 현실이라는 것을 지각하게 해 준 책이 바로 <꿈의 실크로드를 찾아서>이다. 낭만과 꿈이 서린 소위 말해 ‘비단길’이 알고 보면 척박한 황무지의 모습을 보이며, 중국의 과거와 지금을 한 눈에 볼 수 있다고 하니 어찌 참을 수 있더냐. 여비가 없으니 책이라도 펼칠 수밖에.
<꿈의 실크로드를 찾아서>는 우리가 이름으로밖에 접하지 못했던 실크로드를 저자가 직접 발로 체험하며 기록한 일종의 답문서이다. 직접 찾아가 보았다는 저자의 말에 이 책이 여행서적인지 사회서적인지 헷갈렸지만, 읽어가면서 단순한 여행서적이 아니라는 것을 알았다. <꿈의 실크로드를 찾아서>는 단순히 여행으로 즐기는 책이 아니라, 중국의 역사를 비롯하여 동양과 서양이 엇갈리고 통하며 섞이는 지점의 역사를 통틀어 이해하는 책이다. 저자 심형철씨가 고심을 하여 재구성하고 직접 답사까지 하며 글을 실었다고 하는데, 그 노고가 여실히 책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듯 하였다.
이 책을 만나기 전 나의 인식에 의하면 실크로드는 단지 하나의 ‘길’일 뿐이었다. 떠돌이 개가 음식물 쓰레기를 찾아 골목길 주변을 어슬렁거리는 것과 하나도 다를 바 없는 하나의 통로, 그것이 책과의 조우 이전에 나의 굳어있는 인식이었다. 하지만 이 책을 만난 후에는 실크로드가 그저 하나의 통로일 뿐만 아니라, 거대한 ‘문명’이라는 것을 몸소 느꼈다. 실크로드는 길 위에 황무지가 얹어지고 사람들이 소통하며 나라들 간의 교역이 성행하던 과거의 혹은 미래의 혹은 현재의 중심의 개척지라고 할 수 있다. 그 거대한 역사와 짙은 풍토, 그리고 여러 곳으로부터 흘러들어온 문화의 샘물을 틀어 받아 융합한 새로운 문화의 발생, 이 모두가 실크로드를 ‘꿈’이라는 다다르지 못한다고 생각하지만 결국엔 이룰 수도 있는 형체로 형상화한 것이다. 말은 ‘꿈’이지만 결국에 실크로드 또한 수많은 세월과 문명이 빚어낸 ‘현실’이기에 더더욱 매력이 발산되는 것 같다고, 나는 연신 고개를 조아렸다.
고개를 조아리다 가끔 멈칫 갸우뚱하게 될 때가 있는데, 사회서적이라는 점이 지루함과 난해함을 동반해왔기 때문이다. 이 책을 세계의 역사로서 중요하게 여기다 그 거대하고도 방대한 역사에 짓눌려 숨통을 막혀버려 헥헥거리기 전에, 이 책을 보다 쉽게 생각해야한다는 것은 자명한 진리라고 생각한다. ‘역사’이기 이전에 실크로드는 ‘사회’이며, ‘사회’이기 이전에 ‘사람이 살던 곳’이기 때문에 독자들은 이 책을 우리네 일상의 한 부분으로 여기며 이웃집으로 탐방 간 듯한 느낌으로 새로 알아나가는 재미를 쏠쏠 느끼며 읽는 것이 훨씬 좋을 것이라 여겨진다. 곳곳에 배치된 다양한 사진과 일화들이 독자들의 눈을 더욱 신선한 거리들로 채워줄 것이다.
실크로드와의 첫 만남이 간접적인 만남이라 실크로드에게 약간 미안한 감정이 들기도 하지만, 언젠가는 실크로드와의 직접 만남을 ‘꿈’꿔보리라. 물론 ‘꿈’꾼다는 것은 ‘현실’로 승화되리라는 의지의 한 요소라는 것을 알고 하는 말이며, 실크로드의 꿈을 찾아 나서고 싶다.
거대한 문명의 결정체 실크로드. 그 곳에 다다랐을 때 우리는 무엇을 가지고 갈 수 있을까? 거대한 역사일까, 역사의 진리일까, 소중한 문명일까, 아니면 신선한 체험일까? 이 중 한 가지를 고르기는 너무 힘들다. 역시나, 실크로드에도 가지고 갈 수 있는 것들은 앞서 언급한 것 모두이다! 거대한 역사와 역사의 진리, 그리고 소중한 문명과 그것을 넘어서는 신선한 체험. 이 모든 요소들이 뒤엉킨 복합체가 바로 실크로드이며 이것은 바로 ‘꿈’이다. 정말로 ‘꿈’인 것이다. 언젠가 현실로 두드러지게 나타날 ‘꿈’이, 실크로드 속에 담겨있는 것이다. 세상의 진리가 실크로드의 길을 따라 우리의 정신을 가로지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