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래할 책 모리스 블랑쇼 선집 3
모리스 블랑쇼 지음, 심세광 옮김 / 그린비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리스 블랑쇼 <도래할 책>을 (뒤늦게) 구입해서 보고 있다. 매혹적인 책이다.

 

 

어떤 책들은 수많은 다른 책 읽기를 자극한다. 한 권의 책 안에 수십, 수백 권의 책들을 포함하고 있는 책들이 있다. 이거야 말로 정말이지 '막막한' 책들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내 경우 처음으로 그런 자극을 받은 책은 마샬 버먼의 <현대성의 경험>이었다. (마르크스, 보들레르, 괴테의 <파우스트>, 도스토옙스키, 미국 시인들이 다뤄진다.) 그리고 르네 지라르의 <낭만적 거짓과 소설적 진실>과 프랑코 모레티의 <근대의 서사시>가 그랬다. (전자에서는 <마담 보바리>, <돈키호테>, 스탕달의 <적과 흑>, 도스토옙스키의 소설들이 다뤄지고; 후자에서는 <파우스트>, <모비 딕>,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즈>, 마르케스의 <백 년의 고독> 등이 다뤄진다.) 아 참, 루카치의 <소설의 이론>도 빼놓을 수 없겠다. (최근에 이 책을 다시 들춰보다가 클라이스트의 <미하엘 콜하스>가 언급되고 있는 걸 보고 깜짝 놀랬다.)

 

'막막한 책'의 비교적 최근 사례로는 <모든 것은 빛난다>와 <소설은 어떻게 작동하는가>가 있다. 전자의 도움을 받아 <일리아스>와 <모비 딕>을 흥미진진하게 읽었다. 또한 <신곡>을 한 번 맘 먹고 읽어볼까 하는 생각을 품게 해주기도 했다. 후자의 경우엔 플로베르와 헨리 제임스를 다시 찬찬히 읽고 싶은 마음을 품게 해주었다. (한편 <도래할 책>에서도 헨리 제임스가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어서 반가웠다.)

 

요즘 틈날 때마다 나름의 정리를 해보기 위해 보고 있는 카뮈의 <시지프 신화>도 다른 책 읽기를 자극하는 메타-북이라 할 수 있겠다. (카뮈가 책 속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키르케고르를 읽고 싶은 마음까지는 솔직히 들지 않았지만, 책 말미에 실린 도스토예프스키와 카프카 독후감은 무척 흥미롭고 자극적이다. 카뮈의 관점 및 해석과 나의 생각과 느낌을 비교하면서 '도(스토옙스키) 선생'과 '카(프카) 청년'의 작품들을 읽어나가면 재밌을 것 같다는 생각이 절로 드는 것이다...

<도래할 책>은 제목이 뭔가 추상적이고 철학적이어서 읽어도 무슨 말일지 모를 거라고 생각해서 읽기를 미뤄왔는데, 막상 읽어보니 나름 재미가 있다. 블랑쇼의 무질에 대한 언급은 카프카 수용 태도와도 겹쳐지는 것이어서 흥미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