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르베즈(Gervaise)>(르네 클레망, 1956) 

 

원작은 에밀 졸라의 <목로주점>

르네 클레망은 <태양은 가득히>의 감독이기도 하다.

 

 

(* <태양은 가득히>는 패트리셔 하이스미스의 소설 <재능 있는 리플리>를 원작으로 한 영화로 알랭 들롱이 리플리 역을 맡았다. 이 작품의 최근 영화화 판본은 맷 데이먼, 주드 로, 기네스 팰트로, 그리고 고(故) 필립 세이모어 호프만이 출연한 앤서니 밍겔라 감독의 <리플리>가 있다.)

 

 

 

 

 

 

 

재작년 쯤이었던가 소설 <목로주점>을 읽고 한 동안 충격에 빠졌었는데, 얼마 뒤 <목로주점>을 영화화한 <제르베즈>를 보게 되었다. 영화는 <목로주점>의 여주인공 제르베즈 마카르의 이름을 제목으로 삼았다. 말하자면 제르베즈의 일대기를 중심으로 각색을 한 셈인데, 원작 소설 역시 다분히 제르베즈를 중심축으로 삼아 전개되기 때문에 이러한 각색이 어색하진 않았고, 오히려 적절했다.

 

영화는 세부적인 대목에서 소설 원작과 다른 점이 좀 있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원작의 분위기를 잘 살린 편이다. 다만 소설의 디테일한 묘사, 끈질기게 반복되는 묘사가 영화에서는 압축되어 제시된다. 이는 영화와 소설의 본연적 차이일 것이다.

 

인물에 대한, 그리고 특히 인물이 처한 환경에 대한 디테일하고 반복적인 묘사는 졸라의 장기이기도 하다. 인물이 서서히 나락으로 떨어지는 과정을 졸라는 끈질기고 집요하게, 그리고 가차 없이 그려낸다. 그것이 졸라가 견지한 '작가적 시선'인 셈이다. 이 시선은 꽤 섬뜩하고 또 잔인하다. 이 시선으로부터 어떤 (인간의 삶에 대한, 세계에 대한) 비전을 길어낼 수 있을 것인가? 그건 아직은 잘 모르겠다. 

 

 

 

 

 

 

영화가 소설과 가장 다른 점은 결말이다. 영화는 제르베즈의 남편 쿠포가 술로 인해 실성하고 제르베즈가 자포자기 상태에 빠져 (그렇게 증오하던) 술을 마시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끝난다. 하지만 소설에서는 이후로도 이야기가 한 동안 이어진다. 실성한 쿠포는 정신병원을 제집처럼 들락날락하면서 계속해서 술을 마신다. 제르베즈 역시 돌이킬 수 없는 알콜 중독 상태로 빠져든다. 술을 사 마시기 위해 남편이 그랬던 것처럼 제르베즈 역시 집안 살림과 가재도구를 하나 둘씩 전당포에 맡긴다. 그들은 모든 희망을 잃은 상태에서 그저 '살아 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말 그대로 집을 먹어치운다. 나중에는 침대와 매트까지 분리해서 팔아치운 그들은 짚더미를 덮고 자기에 이른다. 이제 더 이상 전당포에 맡길 것이 없어지자 제르베즈는 무기력한 상태에서 아무것도 남아 있지 않은 집 구석구석을 바라보며 쌓인 먼지와 거미줄을 어디 팔 수 없을까를 궁리한다.

 

결국 쿠포는 정신병원에서 광기에 사로잡혀 죽고, 그 광경을 목격한 제르베즈 역시 실성하고 만다. 아무도 그녀를 돌봐줄 사람은 없다. 월세를 낼 수 없어 집에서 쫓겨난 그녀는 아파트 층계 구석방에서 마지막 생명을 이어간다. 그리고 거기서 굶어죽는다.

 

영화는 제르베즈의 느린 몰락이 막 시작하려는 시점에서 끝난다. 소설을 읽으면서 가장 괴로웠던 대목이자 가장 인상적인 대목이 바로 이 '제르베즈의 느린 몰락' 대목이었는데, 영화는 이 대목을 다루지 않은 것이다.  

 

제르베즈는 나름의 미덕을 가진 인물이다. 근면성실하고, 삶에 대한 의지도 강하다. 아내와 엄마로서의 의무 역시 잘 인식하고 있고, 그 의무를 다하기 위해 인내할 줄도 안다. 가난하고 불쌍한 이웃을 연민하는 따뜻한 마음씨의 소유자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 모든 미덕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서서히 몰락한다. 소설의 독자는 한때 삶에 대한 의지로 반짝반짝 빛났던 그녀가 의지라고는 눈꼽만큼도 찾아볼 수 없는 상태로 바뀌어 가는 과정을 지켜봐야만 한다. 마지막 순간 그녀에게 남은 건 배고픔이다. 당장의 배고픔을 면하기 위해, 한끼 식사를 할 빵을 구하기 위해 그녀는 무엇이든 하려 한다. 당장의 배고픔을 모면하려는 의지--그러니까 '살아 있는 상태'를 아주 잠깐이나마 더 연장하려는 것, 불가피한 죽음을 잠시나마 유예하려는 것, 이것이 그녀가 보여주는 마지막 의지다. 이런 의지(그게 의지이기나 한 것일까?)를 지켜보는 건 괴롭다. 제르베즈가 차라리 자살을 했으면 더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너무나도 자연스럽게 든다. 그녀는 이웃에 사는 장의사 노인에게 찾아가 자신을 제발 죽여달라고까지 애원한다. 이미 침대와 매트리스를 팔아치우고 짚더미를 잠자리 삼는 순간, 제르베즈는 인간에서 짐승으로 전락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장의사 노인에게 죽여달라고 애원하는 순간 그녀는 삶의 영역에서 죽음의 영역으로 넘어갔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짐승으로서의 삶'은 그 나름대로 계속되고, '삶이 아닌 삶' 역시 그 나름대로 계속된다.

 

 

그렇게 유지되는 '살아 있는 상태'를, 그리고 그러한 상태가 드디어(!) 끝나는 순간을 에밀 졸라는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그는 제르베즈에게 자살조차 허락하지 않는다. 제르베즈는 일말의 존엄도 찾아볼 수 없는 죽음을 맞는다.

 

 

하지만 제르베즈는 운이 없는 편이었다. 쿠포처럼 당장 죽지도 못했던 것이다. 우리에서 도망친 원숭이처럼 얼굴을 찡그린 채 거리를 돌아다니며서 아이들이 던지는 양배추 속대를 맞는 게 고작이었다.

 

제르베즈는 그렇게 몇 달을 더 버텼다. 점점 더 나락으로 굴러떨어졌고, 더없이 구차스러운 모욕을 감수하면서 매일 조금씩 굶어 죽어갔다. 그러다가 조금이라도 돈이 생기면 술을 마시고 비틀거리는 나날이 이어졌다. [...] 아무래도 이 세상은 그녀를 원하지 않는 것 같았다. 이제 머릿속이 텅 비어버린 제르베즈는 7층에서 아래로 몸을 던지면 이 모든 것을 끝낼 수 있다는 간단한 생각조차 해내지 못했다. 죽음은 제르베즈가 자초한 비참한 삶 속에서 마지막까지 조금씩 그녀를 침범해왔다. 심지어 제르베즈가 어떻게 죽었는지 정확히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추위 때문에 얼어 죽었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하지만 그녀의 죽음은 빈곤함과 불결함 그리고 삶의 고단함으로 인한 것이었다. 로리외 부부의 표현에 의하면, 제르베즈는 조금씩 타락해감으로써 죽음에 이르렀던 것이다. 그러던 어느 날 아침 복도에서 악취가 풍겼고, 사람들은 이틀 전부터 제르베즈가 보이지 않았음을 떠올렸다. 그리고 계단 밑 골방에서 이미 시퍼렇게 변해버린 제르베즈의 시신을 발견했다.

 

- 에밀 졸라, <목로주점 2>, 문학동네, 338-339면

 

 

 

 

 

 

 

 

 

 

 

 

 

 

 

 

 

 

 

 

 

 

 

 

 

 

 

 

 

사실 문학에서는 '몰락'이란 것을 낭만화하거나 숭고화는 경향이 있다. '몰락'은 자신의 모든 것을 내걸고 세계와 한판 대결을 벌인 영웅이 맞이하는 어떤 숭고한 최후,라고 우리는 생각한다. 예를 들어 '몰락의 에티카'와 같은 문구는... 뭔가 있어보이는 멋진 표현임에는 틀림 없다. 분명히 '몰락'에는 '에티카'와 같은 어떤 것이 들어있기도 할 것이다. 하지만 그런 것과는 전혀 상관 없는 비천한 몰락도 존재한다. 아니 실상 대부분의 경우에는.......

우리들 대부분은 사실상 '짐승으로서의 삶' '삶이 아닌 삶', '단지 살아 있는 상태를 조금 더 유지하려는 삶'을 살고 있는 게 아닐까? 그렇지 않다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목로 주점>을 읽고 나서 스스로에게 이런 질문을 던졌을 때, 나는 선뜻 아니라고 답할 수가 없었다.

 

 

 

 

 

 

 

영화 얘기로 마무리를 해보자. 이 모든 건 고작(...!) 소설이고 영화에 불과할 수도 있으니......

 

 

영화에의 몰입도를 높여주는 건 캐스팅이다. 제르베즈를 연기한 마리아 쉘(Maria Schell)은 내가 소설을 읽으며 상상한 제르베즈의 모습과 꼭 닮아 있었다. 찾아보니 그녀는 <백야(Le Notti Bianchi)>(루키노 비스콘티, 1957)에서 주연을 맡기도 했다. 그 외의 등장인물들, 특히 '제르베즈의 남자들'이라 할 수 있는 쿠포, 랑티에, 구제 등 남성 인물 3인방, 그리고 '제르베즈의 숙적'이랄 수 있는 비르지니 역시 어울리는 캐스팅이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인상적인 배역은 바로 제르베즈의 딸 '나나'였다. 나나 역을 맡은 배우는 결말에서 짧지만 매우 인상적인 표정 연기를 선보인다. 찾아보니 샹탈 고찌(Chantal Gozzi)라는 이름을 가진 아역 배우다. <제르베즈> 이후 1961년까지 4편의 영화에 더 출연했을 뿐, 지속적으로 활동하진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