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머리 여가수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73
외젠 이오네스코 지음, 오세곤 옮김 / 민음사 / 2003년 3월
평점 :
부조리극의 특성은 인간들의 막연하고 근거 없는 집단적 믿음(조리) 앞에 그들이 믿으려 하지 않는 적나라한 현실(부조리)을 제시하는 것이다. 사회 구성원들이 여간해서는 믿지 않으려 하는 현실의 모습 내지 삶의 조건을 집요하게 제시하고 있다. 부조리극은 비록 관객들이 현실로 인정하기 싫어하지만 엄연히 존재하는 현실의 부조리한 모습을 있는 그대로 담아낸다. 즉 부조리극은 ‘비사실임 직하지만 엄연한 사실’의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부조리극은 어디까지나 직접적인 방식으로 현실, 즉 인간의 부조리한 상황이나 모습을 제시할 뿐이지 그것에 대해 특정한 반응을 유도하지도 않고, 어떤 대책을 암시하거나 충고하지도 않는다. 따라서 집단적 믿음을 떨쳐버리고 현실을 직시하며, 거기서 문제점을 찾아내어 해결하고자 노력하는 과정은 철저히 관객의 몫이다.
외젠 이오네스코의 <대머리 여가수>는 인간 언어의 부조리함을 이야기한다. 인간은 자신들의 언어를 지극히 합리적이라 믿으며 문화의 축적과 의사소통의 도구로 삼지만, 실제로 그것은 대단히 비논리적이고 불합리해서 인간의 언어생활은 원초적으로 소통이 불가능한 오해의 연속일 뿐이며, 거기서 비롯한 언어의 횡포가 인간들을 핍박하고 있다고 본다.
마틴 부인 풀어진 구두끈을 다시 매고 있더군요.
마틴, 스미스, 스미스 부인 세상에!
스미스 딴 사람이 한 얘기면 안 믿었을 거예요.
마틴 왜요? 다니다 보면 더 이상한 일도 많아요. 오늘만 해도 지하철에서 봤는데 어떤 사람이 조용히 앉아서 신문을 읽더군요.
상식적이고 당연한 일들이 당연하지 않고 희귀한 일이 되는 것을 통해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을 똑바로 보게 해준다. 그뿐 아니라 비논리적인 소통의 부재가 가지고 오는 언어를 통해 사람들과의 관계와 대화가 단절된 오늘날 우리 사회를 보게 한다. 모두가 무언가를 말하고 있지만 그것이 무엇을 말하는지 모르며, 어떤 상황속에서 이루어지는 대화인지도 알 수가 없다. 자신의 뜻대로 자신의 입장에서만 이야기하고 들으려고 하지 않는다. 말에 대한 힘과 책임은 점점 약해지고 있다. 정치가들의 선거공략은 당연히 지켜지지 않고, 세대 간의 불통으로 인한 갈등, 경청하지 않는 분위기, 자신의 말만 듣기를 바라는 기성세대와 자신들의 입장을 이야기하지 않고 포기해 버리는 젊은 세대 등 언어로 소통할 수 있다는 우리의 확신은 깨어지고 말았다. 우리는 무엇을 말하고 듣고 있는가? 언어로 이루어진 우리의 문화 속에서 부조리를 조리로 바꾸고 진짜 소통할 수 있는 길은 무엇인지 묻고 또 묻게 된다.
전원 그쪽 아냐. 이쪽이야. 그쪽 아냐. 이쪽이야. 그쪽 아냐. 이쪽이 야. 그쪽 아냐. 이쪽이야. 그쪽 아냐. 이쪽이야. 그쪽 아냐. 이쪽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