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일의 연인들
정영수 지음 / 문학동네 / 2020년 10월
평점 :
가을이 깊어 가던 11월 늦은 밤, 첫눈이 펑펑 내렸다. 눈은 습기를 머금은 채 3일 내내 너무나 많이 내렸고, 애꿎은 나뭇가지를 뚝뚝 부러뜨리기도 했다. 나는 갑상선에 이상이 생겨 입원한 동생과 함께 병원에서 4박 5일을 보냈다. 병원에서의 하루는 단조롭고 규칙적이어서 가지고 있던 정영수 작가의 <<내일의 연인들>>을 꾸준히 다 읽을 수 있었다. 눈 내리던 첫째 날은 일찍 병실 불을 끈 후 복도로 나가 자리를 잡고 앉아 <우리들>과 <내일의 연인들>을 읽었고, 다음 날 수술 직후 약 기운에 취해 깊이 잠든 동생 옆에서 <더 인간적인 말>과 <무사하고 안녕한 현대에서의 삶>, <기적의 시대>를 읽었다. 동생은 수술 후 바로 거동이 자유로웠기에 보호자로서 해줄 일이 그리 많지 않았다. 동생에게 무언가를 해주기보다는 함께 있어 주는 것이 중요했다. 옆에 있으면서 나는 나대로 무언가 할 수 있는 일이 필요했고, 그것이 소설을 읽는 일이었다. 나에게는 모처럼 휴식처럼 찾아온 조용한 시간이기도 했다.
무언가를 특별히 해주지 않아도 옆에 함께 있어 주는 것은 서로에게 위로와 힘을 준다. 특히 타인과 타인이 만나서 아주 밀접한 관계를 맺은 연인이라면 그 애틋함은 더할 것이다. 점과 점이 만나서 선이 되고, 선이 된 두 사람은 자기들만의 독특한 도형을 만들어 나간다. 비슷해 보이면서도 각기 다른 모습들, 그렇지만 또 뻔한 우리 사랑의 모습들. 이런 설레면서도 뻔한 사랑 이야기에 계속 마음이 가는 것은 모두의 연애가 그 안에서 숨 쉬고 있기 때문이다. 이 소설은 사랑과 연애의 담론이자 다양한 연인들의 삶의 기록이라고 할 수 있는데, 거창하기보다 오히려 궁상맞고 초라한 군상들의 모습이 밉지 않게 다가온다. 아니 안타깝고 안쓰럽다.
“우리 매년 여름마다 여기 올까?”
우리가 단 한 번도 이야기해 본 적 없는 다음 여름에 대해 이야기할 만큼 현수는 그곳이 마음에 들었던 것이다. 우리가 단 한 번도 이야기해 본 적 없는 다음의 다음, 또 다음의 여름에 대해 이야기할 만큼 현수는, 그리고 우리는 그날의 분위기가 좋았던 것이다. 그 이후 잠시 동안, 결코 길지는 않았지만 모두가 느낄 수 있을 정도로 분명하게 정적이 흘렀다. 매해 여름이란, 이런 아름다운 계절이 한 번도 아니고 두 번도 아니라 셀 수 없이 많이 지속될 여름이란 우리가 감당하기에는 너무나 아득하고 눈부신 말이었다.
<우리들>, 35.p
깨어질 사랑을 붙잡고 영원을 이야기하는 생명체가 인간 말고 또 있을까. 그러나 바로 그 점 때문에, 사랑은 깨지고 공허함만 남겠지만, 누군가는 슬픈 소망을 갖게 될 것이다. 혼자 남은 외로움 속에서도 지나간 나의 사랑은 어떠했는지 복기하고 기록하면서 사랑했던 나를 존재하게 할 테니까. 그러니 너무 아파하지도 후회하지도 말고, 상처를 준 이들에게는 조금 미안해하면서 살아가기를.
내가 한때 머물렀던 남현동 산자락의 조용하고 아늑한 빌라의 소유주는 선애 누나와 그녀의 남편으로, 두 사람은 그곳에서 오 년 정도 결혼생활을 한 뒤 파경을 맞이했다.
- <내일의 연인들> 45.p
‘내가 한때 머물렀던 남현동 산자락으로…’로 시작하는 <내일의 연인들>은 그러니까 한때 누군가의 사랑이 시작되고 끝난 곳에서 이제 막 사랑을 시작한 연인이 살을 비비고, “넌 정말 대단해.”라는 말로 서로를 구원하며 시간을 보냈지만, 그 공간을 통해 사랑의 기대와 소멸을 지켜보며 자신의 존재를 찾아가는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얼마 전, 지인의 조카가 사랑하는 여자와 함께 살 수 있는 집을 구하면서 엄청난 부동산 시세를 알게 되었고, 청년주택이나 신혼부부 임대주택 등을 알아보다가 어느새 흐지부지되더니 연인과도 헤어졌다는 말을 듣게 되었다. 그렇다고 연애나 결혼을 포기한 건 아니지만, 마음 놓고 두 사람이 함께 할 수 있는 공간이 연인들에게는 얼마나 매혹적이고 필요한 것인지 생각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런 공간에서도 연인은, 부부는 헤어진다.
“그런데 그 사람들은 정말 어쩌다 헤어졌을까?”
창가에서 들여오는 풀벌레 소리가 점점 아득해졌고, 나는 문득 끝나지 않을 시간에 갇혀서 텅 빈 공간을 떠다니고 있는 사람이 된 듯한 기분에 사로잡혔다. 왠지 그 밤은 영영 지나가지 않을 것만 같았는데, 그것은 내게 앞을 다가오거나 다가오지 않을 무수히 많은 행복한 시간들과 외로운 시간들의 징후처럼 느껴졌다. 나는 비스듬히 누운 채 아직 잠들지 않았을 지원의 윤곽을 오래도록 바라보고 있었다. 우리는 어쩌면 그들의 유령들이 아닐까, 생각하면서.
- <내일의 연인들> 72.p
그래도 세상 모든 연인이 행복하기를 바란다. 시간이 그들을 잡아먹기 전에. 사랑이 변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하겠지만, 나는 사랑이 변한다기보다 시간을 통과한 연인이 변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싶다. 세상에 영원한 것이 있을까. 그래도 많이 사랑할 수 있는 우리가 되길.
지나간 나의 청춘 한때도 그러했었을 것이며, 앞으로의 삶 또한 별반 다르지 않겠지만, 우리가 사랑했던 순간만은 황홀하고 아름다웠을 테니까. 그 뒤 그리움이나 혹은 후회와 상처가 남을 수도 있겠지만, 그러면 또 어떤가. 인간은 사랑하고 아파하며 살아가는 존재인 것을. 노래 가사처럼 사랑을 많이 한 사람이나 한 번도 사랑하지 못했다고 말하는 사람이나 마음 깊은 곳 어딘가에는 한때를 함께 보냈던 존재에 대하여 미소 짓는 순간이 있을 것이며, 또 이미 지나간 시간을 아쉬워할 테니. 그러니 지금 사랑할 수 있을 때, 마음껏 사랑하길. 그렇지 않다면 사랑하기를 꿈꾸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