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래 산책 연습
박솔뫼 지음 / 문학동네 / 2021년 4월
평점 :
시간을 걷는 우리들
<<미래 산책 연습>>/ 박솔뫼
미래를 사는 것은 어떤 것일까. 우리는 저마다 소망하는 것을 말하고 그것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면서도 진짜 이루어질 수 있을까 의심한다. 그러나 조금만 생각해보면 나의 지나간 과거가, 현재의 삶이 지난 시간 우리의 미래였음을 깨닫게 된다. <<미래 산책 연습>>을 처음 읽었을 때는 조금 헷갈렸다. 갑자기 일본 호텔에서 부산으로, 주인공 수미는 과거, 현재, 미래 중 언제의 수미일까. 그러다 마지막 일본 호텔에서 다시 윤미언니를 만나고, 언니가 떠난 뒤 정승을 만나면서 우리의 삶이 결코 단편적이지 않다는 것을, 각자의 삶과 시간이 서로의 시간에 기대고 얽히면서 조금씩 나아가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그러니 과거가 곧 미래이고 현재이며, 미래가 또 우리의 과거가 되는 것이겠지.
원하는 미래를 그리고 손으로 만져보기 위해 어떤 시간을 반복해야 할까. 나는 그것을 우선 어딘가에 써두어야겠다고 생각했다. 18.p
나는 작가가 어딘가에 써두어야겠다고 생각한 미래를 한 장씩 읽는 것에 몰두할 수 있었다. 물고기 뱃속에서 함께 살던 친구들을 우연히 길에서 마주치고, 서로를 알아보고, 다시 서서히 물고기로 변했다가 다시 젖은 물방울이 되어 길 위에서 사라지는 수미와 동생을 위해 기도하는 윤미언니, 모욕을 모욕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최명환 등을 만났다. 수미는 자신이 원하는 대로 자기를 알아보는 사람이 없는 곳에 가서 살고 있을까. 서울에서 전세로 빌라에 살고 있는 수미는 부산에서 월세로 오래된 아파트를 얻은 뒤, 두 도시를 오가는 삶을 살아낸다. 그의 즉흥적인 행동과 추진력이 부러웠다. 자신을 아는 사람이 없을 것 같은 부산에서 그녀는 또다시 사람들을 만나고 인연을 맺었지만 말이다. 나또한 원하는 미래를 손으로 만지고 통과하기 위해 어떤 시간을 쌓고 밀도를 더해야 할지 고민하게 되었다.
수미가 부산에서 처음 만나 인연을 맺은 사람은 ‘최명환’이다. 남자 이름이라고 선입견을 갖게 했지만 그는 여자이고, 먹을 것을 챙겨주는 성녀라는 뜻의 ‘마르타’라는 세례명을 갖고 있다. 그래서인지 최선생을 만나거나 그녀의 집에 가면 다양한 음식을 대접받고, 의도하지 않았지만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위로와 쉼을 얻는다.
많은 사람의 이름은 생각해보면 누군가 위에서 높은 곳에서 미리 정해준 것처럼 꼭 맞고 어울렸다. 우리가 이름과 사람을 함께 만나기 때문일까 나는 최명환과 그의 이름이 무척 잘 어울린다고 이유는 설명하기 힘들지만 그렇다고 생각했다. 60.p
우리는 어떤 이름을 갖고 있는가. 또 어떤 이름을 갖고 싶을까. 누군가 지어준 이름이 아닌 나 스스로가 갖고 싶은 이름은 무엇일까. 그러면서 나는 이름에 맞게 살고 있는지, 혹은 살고 싶은지도 생각하게 된다.
- 나를 위해서도 기도해줘.
- 한다. 하지.
- 뭐라고 하는데?
- 바르고 이웃을 생각하는 어른이 되게 도와달라고 한다.
- 더 멋있는 거 없나?
- 그리고 어.
- 뭐?
- 많은 것을 배우는 어른이 되게 도움을 달라고 한다.
- 그래. 그거 괜찮네. 103.p
나는 많은 것을 배우고 배를 타고 먼 곳으로 가는 어른이 될 것이라고 다짐하는 수미가 좋았다. 살아오면서 올렸던 나의 기도는 어떤 기도였을까. 나는 내가 드린 기도에 맞는 어른이 되었는지도 궁금하다. 어른은 되었지만 많은 것을 배우고, 좋은 어른이 되었는지는 잘 모르겠다. 그렇지만 좋은 어른이 되고 싶다는 생각은 계속 품고 있다.
서울에서 부산으로 오면 수미는 머무르는 동안 대부분 먹고 걷는 일을 했다. 아파트 주변을 걷고 부산타워에 올라갔다가 그 주변을 또 걷고 시장을 걷고, 미문화원 주위를 걸었다. 다른 동네와 성당을 찾아 걷고 또 걷다가 커피와 빵을 먹고, 술을 마신다. 옆집에서 가져다 준 떡을 먹고, 차이나타운의 식당에서 데운 두유와 튀긴 빵을 먹는다. 통닭을 먹고, 감기에 걸리자 함께 감기에 걸린 최선생 집에 가서 죽과 생강차와 소고기뭇국을 먹는다. 소설을 읽다보면 먹고 기도하고 걷는 주인공이 보인다. 무엇이 먼저인지 알 수 없지만 수미가 살아가는 일상 곳곳에 걷고 기도하고 먹는 일들이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나는 최선생은 누구를 위해 무엇을 위해 기도하나 잠시 생각했고 또다시 조용히 자리를 잡고 기도하는 사람들을 의식하며 조용히 눈을 감았다. 나는 겸손한 마음으로 천국의 시간을 반복해보고 그 막연한 시간은 미래임에도 미래처럼 여겨지지 않았고 마치 슬픈 과거 같았다. 140.p
생명을 가진 존재들에게 그것만큼 강력한 일이 또 있을까 생각했다. 걷기 위해서는 먹어야 하고 먹기 위해서는 살아가야 하며, 영혼이 있기에 자신과 또 다른 누군가를 위해 기도해야 한다. 살아가는 것이 그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다시 깨닫게 된다. 생명력 가득한 행위를 통해 살아가는 방법을 배웠다.
며칠 전, 전두환씨가 사망했다. 그 순간 내게 현실과 소설이 하나가 되어 눈앞에 펼쳐졌다. 그에게 전 대통령이라는 말을 해야할지 아니면 군부 독재자라는 표현을 써야 할지 아니면 전 대통령으로서 군부 독재를 유지하기 위해 한 도시의 수많은 사람들을 학살한 인물이라고 써야할지, 모두 사실이고, 그에 대해 알고 있으면서도 입으로 꺼내고 글로 정리하기가 쉽지 않다. 그의 집권으로 수많은 누군가가 엄청난 고통과 아픔을 겪으며 죽었고, 과거와 현재, 미래에도 그것은 계속 되고 있다. 그는 자신이 90세의 이런 죽음을 맞이하게 될지 알고 있었을까. 죽어서도 사과하지 않고, 죽어서도 영원히 많은 사람들에게 미움과 증오를 품게 한다는 것을 알았을까. 하필 그는 2021년 11월, 내가 이 작품을 읽고 있을 때 죽어서 1982년의 광주를 찾아보고 생각하게 만들었을까. 그러니 미래는 과거이고 현재이며 다시 현재와 과거와 미래가 되는 것이다.
무섭고 괴롭고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를 날들이 이어졌는데 그래도 시간은 흘렀고 그럼에도 즐거운 날들이 있었다. 204.p
작가는 작가의 말에서 몇 년 전부터 부산 미문화원 방화 사건에 대해 소설로 쓰고 싶었다고 했다. 쓰고 싶은 것을 가슴에 품고 끝까지 써내려간 작가의 시간과 그녀가 만들어낸 주인공을 따라 함께 걷고 먹고 기도했던 나의 시간을 생각했다. 작가와 독자는 현재에 살아서 현재의 시간에 작품을 통해 만났고, 또다시 각자의 삶을 살아가며 서로 다른 미래를 만들어 가게 되겠지. 내가 원하고 바라며 기도하는 나의 모습이 궁금해졌다. 그리고 나도 그것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 반복해야 할 시간에 대하여 생각하고 써두어야겠다고 생각했다. 말하고 쓰는 행위에 힘이 있다는 것을 믿으며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