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5
조지 오웰 지음, 김기혁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디스토피아를 향해 가는 사회에 던진 희망의 메시지

                                  조지 오웰의 1984

 

 

 

 

  조지 오웰의 소설 1984화창하지만 쌀쌀한 4월의 어느 날이었고, 시계는 13시를 치고 있었다.’로 시작한다. 주인공 윈스턴은 무엇을 하기 위해 그날의 날씨와 시간을 제일 먼저 내세웠을까. 바로 일기 쓰기였다. 집안에서까지 개인의 생각과 행동을 통제 당하는 가운데 텔레스크린의 눈을 피해 그는 자신의 감정을 일기 속에 담으려 애썼다. 초등학교 시절 내가 가장 하기 싫어했던 숙제가 일기 쓰기였지만, 선생님이 마지막에 달아 주었던 문장들이 좋아서 계속 썼던 기억이 난다. 당시 나는 그 문장들을 통해 선생님과 나만의 은밀한 대화를 나누는 것처럼 느껴졌었다.

 

 

  ‘일기 쓰기는 가장 사적인 정신 활동으로 자기고백과 자아성찰이 이루어지는 고차원적인 행위이다.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삶의 흔적을 남기고 힘을 구축하려는 글쓰기는 인간의 본능적인 행동이다. 당은 과거보다 현재가 더 풍요로워졌으며, 전쟁은 늘 승리한다고 말하지만, 그 주장과 현실 사이에 커다란 괴리감을 느낀 윈스턴은 소극적인 저항으로 일기 쓰기를 시작한다. 그것은 목숨을 건 행동이었다. 소설 속 영국사회주의(영사)의 당과 빅 브라더는 텔레스크린, 마이크로칩, 사상경찰 등을 내세워 모든 것을 감시하고 통제한다. 당의 손길이 미치지 못하는 침실 깊숙한 곳의 비밀은 자녀들을 통하여 고발하게 만든다. 개인의 모든 것을 철저하게 통제하려는 사회 시스템 속에서 사람들은 목숨을 걸고 사색을 하며, 글을 쓰고, 사랑에 빠진다. 그리고 나아가 당과 반대편에 설 것을 맹세한다. 아무도 믿을 수 없는 상황이지만, 아주 작은 희망을 걸고 통제 사회에서 벗어나려고 애를 쓴다.

 

 

  내가 이 책을 읽으며 인상 깊으면서도 두려웠던 것은 언어를 없애고 줄이는 일이었다. 풍부한 언어는 사고체계를 조작하고 왜곡하는데 걸림돌이 되기 때문이다.

 

 

-우리는 낱말들을 매일 같이 수십 개 혹은 수백 개씩 폐기하고 있는 거야. 언어를 뼈만 남기고 깎아 내는 거지. 11판에는 2050년 이전에 없어질 낱말은 한 가지도 수록하지 않았다네. …… 말을 없앤다는 건 멋진 일이야. 물론 제일 쓰레기 같은 건 동사와 형용사들이지만.

 

 

  단어가 사라진다는 것은 인간의 사고의 폭을 좁히고, 지혜롭지 못하게 우매한 인간으로 만드는 것과 같다. ‘동사란 무엇인가. 우리가 생각하고 활동하며 무언가를 추진할 수 있는 힘이다. 사람은 먼저 어떻게 하고 싶다라는 생각을 한 뒤, 그것을 행동으로 옮긴다. 그 출발선이 동사이다.

 

 

 ‘걷고 싶다’, ‘공부하다’, ‘뛰다’, ‘먹다등등 동사를 수반하여 움직이고 이루고 성취한다. 만약에 언어에서 동사를 최대한 줄이거나 버리게 된다면 우리는 로봇이나 기계에 불과하다. 파워버튼을 누르고 끌 때까지 한두 가지 일만 반복하는 인간기계 말이다.

 

 

  ‘형용사도 마찬가지이다. 형용사는 건조한 세상에 활기를 불어 넣어주는 품사라고 생각한다. 하나의 단어로는 도저히 설명할 수 없는 자연과 사랑, 감정 등 사람에 대하여 생기를 머금고 아름답고 풍요롭게 표현해 줄 수 있는 것은 형용사가 있기 때문이다. 책을 읽는 내내 모든 사물과 자연 속에서 각각의 색깔을 빼고, 회색 도시로 이미지화 된 것은 형용사를 빼고, 언어의 확장을 차단했기 때문이다. 이런 세상에서 어떻게 살아갈 수 있을까? 자유란 개념이 없어진 세상에서 자유는 굴종이란 슬로건이 있을 수 있을까? 사랑이란 단어가 세상에서 사라진다면 우리가 감정을 무엇으로 표현하고 확장시킬 수 있을지 두렵고 무섭다. 당은 사람들의 성본능을 말살시키려 했으며, 만약 말살되지 않으면 그때는 그것을 왜곡하거나 추한 것으로 만들려고 했다. 인간의 본능까지 조작하려는 세상이 두렵다.

 

 

  조지 오웰은동물농장을 통해 공산주의에 대한 환상을 경고하며, 스탈린 체제의 공포와 억압을 풍자했다. 그리고 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직후인 1946, 피를 토하며 온 힘을 다해1984를 완성했다. 그는 소설 속에서 혹시 도래할지도 모를 미래 사회의 국민 지배 감시 환경에 대해 경고한다. 그가 상상력으로 써내려간 미래 사회는 권력의 장악과 통제 시스템 속에서 끔찍하게 살아가야만 하는 세상에 대해 그 또한 두려움과 섬뜩함을 느꼈을 것이다. 그리고 2020년을 살고 있는 나도 그 속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을 몸의 모든 감각으로 느끼고 있다.

 

 

  현재 내가 걸어 다니는 거리와 골목 곳곳에 설치되어 있는 CCTV와 자동차들의 블랙박스는 그나마 통제,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이다. 나도 모르게 찍히는 사진이라 동영상, SNS에 올라간 사진의 도용과 개인번호의 유출은 무방비 된 삶 속에 어떤 위협이 될지 모른다. 인간의 좋은 의도는 과학의 비인간성과 비윤리적인 팽창 안에서 점점 처음 의도와 다르게 변질되어 간다. 코로나 19바이러스로 인한 휴대폰 프로그램은 사생활 침해 논란을 끊임없이 일으키고 있다.

 

 

  그렇다고 불안과 두려움 속에 하소연과 불평만을 늘어놓을 수 없다. 조지 오웰은1984을 통해 끊임없이 질문한다. 국가의 지배 권력이 개인의 자유보다 우선 될 수 있을까. 그런 상황에 놓이게 될 때 무조건 복종해야 할까 저항하고 질문해야 할까 선택은 우리의 몫이다. 권력층에 대한 국가 정책과 사회가 흘러가는 방향에 대해 깨어 있으며, 각자의 자리에서 지혜를 추구하는지, 신이 인간에게 부여한 자유의지와 감정에 대해 마음껏 표현하고 제대로 느낄 수 있는지 우리는 생각하고 해답을 찾아가야 한다

 

 

 어쩌면 각자의 가장 나약한 부분이 우리의 발목을 붙잡고, 끝까지 생각하고 고민하며, 행동하는 것에 걸림돌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가장 소중한 자기 자신을 지키고 삶을 향유하며 살아갈 수 있기를 바란다면 전쟁은 평화가 아니라 끝없는 고통이자 죽음이며, 자유는 굴종이 아니라 목숨을 걸고 지켜야 하는 숭고한 가치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무지가 힘이 아니라 지혜가 힘이라는 것을, 무지는 곧 죄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우리는 지혜롭게 사고하고 행동해야 할 책임이 있다. 1984를 읽으며 우리에게는 아직 기회가 있다고, 시간이 남아 있다고 생각했다. 간절한 마음으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