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의 마지막 오랑캐
이영산 지음 / 문학동네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18, 몽골에 도착하자 공항에서부터 알 수 없는 꼬릿한 냄새가 났다. 나중에 알게 되었는데 그건 양 냄새였다. 몽골 깊은 곳곳마다 이 냄새가 배어 있었고, 당연히 여행 중 내 몸에도 몽골의 냄새가 묻어갔다. 처음 갔던 몽골은 친근하면서도 낯설었다. 울란바토르 도로 위로 ㅇㅇ유치원, **학원, ***갈비 등 알록달록한 한글글씨로 도배된 다인승 차들이 질주하고 있었고, 살짝 검게 그을리긴 했지만 우리와 생김새가 비슷해서인지 현지사람들에게 거부감이 들지 않았다. 햇볕이 내리쬐는 한여름이라 뜨거웠지만 습기가 없어 그늘로 피하면 쾌적하고 상쾌했다. 10시가 되어야 해가 졌기에 덤처럼 주어진 한낮의 빛을 마음껏 즐길 수 있었다.

 

 

  지금은 울란바트로의 공기가 서울만큼 나빠졌다고 하지만 그 당시 처음 접한 하늘은 끝도 없이 넓고 푸르러서 나와 일행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그러나 무엇보다 몽골의 하늘은 낮보다 밤에 보아야 한다. 특히 도시를 떠나 시골에서 올려다 본 하늘은 까만 융단 위에 눈 대신 별들이 내리고 있는 것 같았다. 몽골의 하늘은 내가 서 있는 거리와 매우 가까웠다. 살면서 그렇게 커다란 카시오페아와 북두칠성은 본 적이 없다. 낮에는 구름이 그늘이 되어 줄 정도였다. 차를 타고 초원을 달릴 때 비지아같은 목동들이 모는 양떼들을 만나면 잠깐 멈추고 사진을 찍으며 좋아했다. 비가 잘 오지 않은 나라인데 우리가 도착하고 밤새 비가 왔다며 마을 사람들은 좋아했다. 나와 일행들은 땅에 고인 깨끗한 빗물로 세수를 했지만. 테를지의 에델바이스는 아직도 널리 피어있을까. 내게 말 타기를 가르쳐 주던 토야도 잘 살고 있을지 궁금하다.

 

 

  7월에 엄마가 큰 수술을 받았는데 당번이 되어 간호를 했던 밤이면 <<지상의 마지막 오랑캐>>를 읽었다. 몽골여행에 대한 추억을 되새기고 내가 겪지 못했던 몽골의 다양한 모습들을 상상했다. 나는 책을 읽으며 엄마가 빨리 회복되기를 기도했고, 몽골의 하늘과 대지, 비지아와 그를 닮은 유목민들은 병실에서 밤을 보내는 나를 위로해 주었다. 병실 창밖으로 네온싸인의 불빛이 빛나고 있는 한강을 바라보며, 몽골에 유학 갔던 친구가 추운 겨울엔 뼛속까지 스며드는 한기 때문에 다시 한국으로 돌아가고 싶어져. 뜨거운 찜질방에서 푹 지져야 하는데라고 했던 말이 생각났다. 어두운 밤, 병실 창밖으로 보이는 한강은 가로등 불빛으로 빛나고 있었다. 초원을 떠나 도시로 간 유목민들은 참 답답했겠다. 광활한 몽골의 대지를 사랑한 사람들은 차보다 말을 타고 달리는 게 더 어울린다.

 

 

곡식이나 야채 대신 고가만을 먹고 살아야 했지만, 그렇게 유목민은 자칫 텅 비어서 공허가 됐을 유라시아의 심장부를 채움으로써 하나로 연결된 지구를 완성했다. 실크로드나 스텝 루트니 하는 중세의 교역로는 말할 것도 없거니와 오늘날 지구가 손바닥 만해진 데에는 유라시아를 인간의 땅으로 만든 유목민의 공로를 외면할 수 없다. 초원에서 게르 하나를 만나도 반가운데, 그 천지가 다 비어버렸다면 인간은 그 광막한 대지를 여행하기는커녕 말조차 들여놓을 수 없었을 것이니 지구적 시각으로도 감사할 일 아닌가. - 126.p

 

 

  18년 전 내가 경험한 몽골의 모습과 사람들, 환경은 많이 달라져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말을 타고 누비며 달렸던 땅과 하늘, 사람들의 마음은 변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믿는다. 뻥 뚫린 초원을 앞마당처럼 누비며 달려가는 사람들을 생각하면 내 마음도 시원해지고 광대해지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