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아서 가야 한다
정명섭 지음 / 교유서가 / 2018년 11월
평점 :
조선은 힘이 없다. 임금과 사대부는 후금과 명나라의 싸움에 우리 군사들을 보낼 수밖에 없었고, 그들은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하고 적군의 포로가 되었다. 이야기는 흥미롭게 술술 읽힌다. 한 편의 영화를 보는 것처럼 머릿속으로 영상이 그려진다. 시간이 흘렀지만 국민의 안위보다 명분과 사대의 예를 더 중시하는 정치권, 약삭빠르게 돈의 냄새를 맡고 움직이는 장사꾼들의 모습은 바뀌지 않은 것 같아 씁쓸하다. 그러나 소현세자나 인조의 삼전도 굴욕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강은태와 황천도 같은 작은 개인의 고통스러운 삶을 들여다볼 수 있어서 좋았다. 그들은 포로로 잡혀가 짐승과 같은 생활을 하며 힘겹게 하루를 버티며 집으로 돌아갈 날을 꿈꾼다. 모두에게는 집으로 돌아가야 할 이유가 있다. 그게 무엇이든 말이다.
돌아가기 위해서는 살아야 한다. 조선에서 노비로 살던 사람들은 낯선 땅에서 비슷한 삶을 살아가는 것이 어렵지 않다. 그러나 양반으로 살던 사람들은 더 이상 양반이 아니다. 그로 인해 이중적 아픔이 가해진다. 어쩔 수 없이 체념하며 고통과 모욕의 시간을 견뎌야 한다. 그저 패배한 포로로서 주인을 위해 일해야만 한다. 양반에서 포로로, 포로에서 노비로 신분이 바뀌고 삶의 방식도 바뀌었다. 생각과 가치관도 바뀔 수밖에 없었다. 그래야만 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긴 했지. 출정할 때 아버님이 조선은 사대부의 나라이니 그들의 뜻에 따라야 한다면서 날 이곳으로 보냈네.”
“정말입니까? 양반 중에서도 자기 자식을 출정시킨 사람이 있었군요.”
“아버지는 나보다도 가문을 더 사랑하시는 분이니까. 날 이용해서 가문의 살길을 찾으신 거 지.”
“어쨌든 죽지 않고 살아났으니 돌아갈 날이 올 겁니다.”
……
“아무리 그래도 양반이신데 어찌 형제도 아니고 친구가 됩니까?”
“여긴 조선이 아니잖아. 양반이니 백성이니 하는 건 부질없는 구분이야.”
감옥 너머의 황량한 벌판을 바라보며 말하던 강은태가 덧붙였다. (84~85.p)
노비였던 황천도와 양반이었던 강은태는 서로를 의지하며 타국에서의 삶을 견딘다. 언젠가 꼭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강한 의지를 갖고 말이다. 두 사람이 친구로 지낼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이 살고 있는 곳이 조선이 아니었기 때문이고, 포로라는 신분이 같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들이 돌아가 살고 싶은 조선에서는 같을 수가 없다. 임금이 바뀌고 속환사가 오고가면서 양반인 강은태는 큰돈을 내고 고향으로 돌아가게 되었지만, 노비인 황천도를 데리고 갈 사람은 아무도 없다. 여기에서부터 인간의 본성이 드러나기 시작한다. 집으로 돌아갈 생각에 친구의 아픔을 헤아리지 않은, 이미 친구 이전의 양반으로 돌아간 강은태나 그를 죽이고 가짜 강은태가 되어 돌아가는 황천도 모두 전쟁의 피해자이자 돌아가고 싶은 욕망이 만들어낸 비극의 주인공이다. 황천도는 순식간에 친구와 그를 데리러 온 사람을 죽이고, 후르사와 거래한다. 큰돈을 얻을 수만 있다면 돌아갈 사람이 누구이든 그는 상관이 없다.
강은태가 되어 조선으로 돌아온 황천도는 그의 가족들을 속이며 새로운 인생을 시작한다. 순간순간이 의심과 염려로 위태롭고 불안하지만 그동안 경험하지 못한 안락함과 부를 누리며, 황천도는 예전의 삶으로 돌아가지 않겠다고 다짐한다. 살인과 방화를 통해 사들인 새 인생은 또 다른 계략과 거짓을 통해 죽음들을 부른다. 이기적이고 차가운 그의 마음은 흔들리는 고뇌 속에서도 끝내 가짜 인생을 내려놓지 못하게 한다.
아무리 20여 년의 시간이 흘렀다지만 아들의 얼굴을 알아보지 못하고, 그동안 나누었던 친구와의 대화를 통해서 집안의 대소사를 처리한다는 설정은 납득이 가지 않았다. 또한 역병으로 죽었다는 오월이가 뒷부분에서 상이와 함께 나오는 부분(286.p)은 치밀하게 퇴고를 하지 않은 것 같은 인상을 남기기도 했다. 그러나 전쟁으로 인해 자신이 살았던 곳을 떠나 일순간 삶과 신분이 바뀌고, 인생의 밑바닥으로 떨어져 짐승과 같은 삶을 살아야만 한다면 우리는 현재의 상식적인 모습으로 살아갈 수 있을까? 전쟁은 누구를 위해서든 어떠한 명분을 내세우든 정당할 수 없다. 비극은 더 큰 비극을 초래할 뿐이다. 그 속에서 희생당하는 것은 인간일 뿐이다. 그래서인지 강은태로 살아야 하는 황천도의 고민에 마음이 갔다.
하지만 벌레처럼 살고 있는 아버지 황음치를 떠올린 황천도는 고개를 저었다. 그렇게 살고 싶지는 않았다. 강은태로 살아가고 싶었다. 그래서 아무런 일도 안 하면서도 끼니 걱정을 하지 않고, 솜털처럼 부드러운 비단옷을 입고 따뜻한 솜이불을 덮고 자고 싶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완벽하고도 완벽하게 강은태로 살아야 했다. (189.p)
이 고민은 평생 그를 따라 다니며 놓아주지 않을 것이다. 그가 아무리 완벽하게 강은태로 살아간다 할지라도 황천도의 그림자에서는 벗어나지 못할 것이며, 그것은 아마 무척 고통스러운 일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