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현산의 사소한 부탁
황현산 지음 / 난다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앞서 걸어가는 사람들의 뒷모습은 아름답다,

황현산의 <사소한 부탁

 

  2018년에는 문학계의 많은 이들이 우리 곁을 떠나갔다. 지인을 통해 일흔이 넘은 나이에도 첫사랑을 생각하며 눈물을 흘렸다는 사담을 듣고 선택한 황현산 선생님의 <밤이 선생이다>와 올해 나온 <사소한 부탁>을 읽다가 부고를 들었다. 암으로 고생하면서도 끝까지 펜을 놓지 않았던 문학평론가로서의 그의 인생은 끝이 났지만, 그가 남긴 글들은 다음 세대와 또 다른 다음 세대로 계속해서 이어질 것이다.

제목은 <사소한 부탁>이지만, 그 안에 담긴 칼럼과 문학평론을 보면 우리 사회를 바라보는 안타까우면서도 날카로운 시선과 작품과 작가에 통한 우리가 품고 가야할 고민들이 담대하고 무겁게 담겨있다.

 

진정한 의미에서의 모국어란 따지고 보면 한 사람이 태를 묻고 성장한 땅의 방언이기도 하다. 이 방언은 세상의 모든 말을 익히고 이해할 수 있는 터전이 된다. …… 문학의 언어는 고백의 언어이면서 동시에 토론의 언어다. …… 토론은 고백을 끌어안아야 토론이고 표준어는 방언을 포섭해야 표준어다. …… 공공의 언어는 게으를 수 없다.

방언과 표준어의 변증법 (2013. 10. 12) 47.p

 

언어는 사람만큼 섬세하고, 사람이 살아온 역사만큼 복잡하다. 언어를 다르는 일과 도구가 또한 그러해야 할 것이다. 한글날의 위세를 업고 이 사소한 부탁을 한다. 우리는 늘 사소한 것에서 실패한다.

한글날에 쓴 사소한 부탁(2014. 10. 11) 97.p

 

특히 언어에 대한 사랑과 질책, 거목처럼 떠받들어지고 있는 작가를 두고도 한쪽으로 쏠리지 않은,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모두 바라보고 당부하는 선생님의 마음도 느낄 수 있다.

 

미당은 2000년 말 86세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여러 장르에 걸쳐 거의 거르는 날이 없이 글을 썼다. 양이 방대하고 좋은 글도 그만큼 많다. …… 미당은 어떤 방식으로 서두를 끌어내어 이야기를 엮어도 중간에 그러나를 넣지 않고는 말하기 어려운 시인이다. 미당은 명백하게 친일시를 썼고 광복 이후에도 몇 차례에 걸친 정치적 과오를 저질렀다. 그러나 이 그러나이후의 말은 복잡하고 섬세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역시 명백한 것은 한국어를 아름답게 일으켜 세운 그의 공로를 부인할 수 없다는 점이다. 미당은 한국어가 말살 위기에 처했던 1930년대와 1940년대에 한국어에 새로운 생기를 불어넣고 새로운 깊이를 만들었다. …… 미당의 정치적 과오는 하나같이 우리의 역사적 비극과 연결돼 있다. 그 접점에서 미당은 옹호되고 비판돼야 한다. …… 그의 명예에 먹칠을 하자는 것이 아니라 그 고뇌의, 혹은 그 비겁함의 짐을 역사의 이름으로 함께 나누어 져야 한다는 것이다.

                                미당의 그러나’-미당 서정주 전집(2017. 8. 28) 328~329

 

 

  앞으로 누가 우리에게 날카로운 해안과 따뜻한 마음을 품고 이 시대의 담론과 문학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이야기하고 비판해 줄 수 있을까. 우리는 올 해 문학계의 많은 어른을 잃었다. 그만큼의 세계를 잃은 것이기도 하다. 눈치 보지 않고 객관적이고 진실한 글을 잃지 않도록 황현산 선생님이 남기고 간 사소한 부탁을 지키며 우리만의 세계를 일구어 나가고 싶다.

  작가 허수경은 시인으로 더 많이 알려져 있지만 정작 나는 작가의 시보다 소설 <아틀란티스야, 잘 가>와 산문<그대는 할말을 어디에 두고 왔는가>를 먼저 읽었다. 정작 시는 선생님의 암투병과 부고를 접하고 읽게 되었다. 그러나 그것은 중요하지 않다. 우리 시대의 올곧고 단단한 아름다운 작가를 잃었다는 것이 슬플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