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기술 - 출간 50주년 기념판
에리히 프롬 지음, 황문수 옮김 / 문예출판사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원제는 "The art of Loving". 번역의 한계겠지만 왠지 '기술'이라 하면 '테크닉'이 떠올라 '사랑'이라는 단어에는 붙이고 싶지 않다. 원 느낌은 온몸으로 정성을 다해 하나하나 쌓아가는 예술품 같은 의미일텐데. 요즘은 '사랑'에 관한 책이 흔하디 흔해서 이런 책이 특별해보이지 않을수도 있지만 그만큼 사랑할 줄 모르는 사람이 많다는 반증이리라.

사랑은, 동사다. 사랑'해야'하는것이고, 적극적 의지가 필요하다. 하지만 언제부턴가 우리는 '사랑받음'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별이 가슴아픈건 더이상 사랑할 수 없기 때문이어야 하지만. 많은 경우에 더이상 사랑받을수 없음을 슬퍼한다. 혹자는 사랑이 식었다고 말한다. 그래, 보기만 해도 불꽃이 튀는 사랑은 사그라들었을지 모른다. 하지만 내가 사랑할 수 있는 대상은 예나 지금이나 눈앞에 있는데. 대체 뭐가 없어졌단 말인가.

에리히 프롬의 글은 '소유냐 존재냐'이후 처음이다. 다른책들은 읽지 않아 모르겠지만, 두 권의 읽고 난 소감은. 글이 어렵지 않다. 아니, 내용은 어렵지만 쉽게 전달한다. 일상적 예시와 언어로. 우리가 잊고 있었던, 혹은 알고있으나 잊고 싶었던 질문을 던진다. 사랑을 '준다는 것'이, 우리의 무언가를 희생한다는 것인가? 은연중에 우리는 부모의 사랑과 같은 무조건적인 사랑을 '희생'과 결부짓지만, 그것은 '준다'는 행위가 '받는'것과의 교환을 의미한다는 자본주의 논리일 뿐이다. (프롬의 어법으로) 생산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에게 준다는 것은 나의 힘, 부, 능력을 경험할 수 있는 잠재적 능력의 최고 표현이다. 생명에 대한 사랑은 인간의 본성이자, 자신을 표현하는 최상의 수단이다.

'소유나 존재냐'에서 언급된것처럼, 우리는 사랑과 같은 감정마저도 '소유'하려한다. 누군가를 내게 종속시키려, 혹은 그 반대가 되는것이 사랑이라 여긴다. 초반에는 상대방에게서 내가 보고자 하는 모습만 볼 수 있지만, 관계가 가까워질수록 일치함의 흥분은 줄어들 수 밖에 없다. 이런것이 사랑이라면 인간은 왜 실패할 수 밖에 없는 시도를 되풀이하는 것인가. 상대를 있는 그대로 사랑하지 못하는 현상에 대해, 프롬은 우리가 스스로를 사랑하지 못하기 때문이라 말한다. 자신을 사랑할 수 있는 사람만이 타인을 사랑할 수 있고, 사랑의 대상에 구애받지 않고 생명 전체를 사랑할 수 있다.

 '나는 당신을 사랑한다'고 말할 수 있다면 '나는 당신을 통해 모든 사람을 사랑하고 당신을 통해 세계를 사랑하고 당신을 통해 나 자신도 사랑한다'고 말할수 있어야 한다.'

'두 사람이 서로 그들 실존의 핵심으로부터 사귈 때, 그러므로 그들이 각기 자신의 실존의 핵심으로부터 자기 자신을 경험할 때 비로소 사랑은 가능하다. 오직 이러한 '핵심적 경험'에만 인간의 현실이 있고 오직 여기에만 생기가 있고 오직 여기에만 사랑의 기반이 있다. 사랑은 이와 같이 경험될 때에만 끊임없는 도전이다. 사랑은 휴식처가 아니라 함께 움직이고 성장하고 일하는 것이다.'

 이런 글들을 읽다보면 '사랑'쯤 이제 자신있게 해낼 수 있을것 같기도 하고, 한편으론 사랑에 이런저런 설명을 늘어놓는게 이상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가끔은 이런 사랑을 하는 사람이 있을까 회의적이기도 하고. 프롬 역시 여러번의 진한 사랑과, 사랑후의 상처를 겪으며 많이 절망했다고 한다. 정희진의 말대로, 사랑한다는 건 상처받기 쉬운 상태가 되는 것이고, 상처에서 새로운 생명, 새로운 언어가 자란다. 사랑하는 것은 자기 확신, 자기 희열이며, 사랑을 갖고자 하는 권력 의지다. 때문에 현재 고통의 중심에 있는 사람에겐 참 잔인하지만, 사랑 이후에 겪는 고통조차 사랑할 때 행복의 일부다.

사랑이라는 행위는 특정 개인에 국한된 감정의 문제라기 보단,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 삶을 살아가는 '간절함'과 통하는 것이다. 이 책의 마지막장인 '사랑의 실천'에서는 사랑하기 위해 '완전히 깨어 있을것'을 요구한다. 사랑받는 사람과 능동적으로 관계하기 위해서는 긴장, 각성, 고양된 생명력의 상태를 유지해야 함으로. 사랑은 세상과 소통하는 방식이다. 하여 사랑을 매우 개인주의적인  주변적 현상이 아니라 사회적 현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우리 사회 구조에 중요하고 급진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암시와 함께, 책은 끝을 맺는다.

어느새 가을도 저물고 있다. 사랑의 상처를 앓는 사람에겐 더없이 스산한 계절. 겨울 내내 온 몸으로 앓고 새봄이 되면 다시금 '나의 생명을 다른 한 사람의 생명에 완전히 위임하는 결단의 행위'로 빠져들 수 있길. 이런 사랑이라면 상처가 깊을수록 다음 사랑에의 열망도 더욱 커지리라. 인간은 죽을때까지 사랑할 수 있는 존재다. 비록 사랑의 대상은 바뀔지라도. 사랑이 '희생'과 결부되지 않는 한. 사랑은 본질적으로 나를 위한 행위다. '사랑의 대상'이 없다고 슬퍼하지 말자. 누구에게나 여기, 내가 한없이 사랑할 수 있는 '우울한 나'가 있을 것이므로.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07-10-29 18: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Jade님. 리뷰 참 잘쓰시는군요.
거침없이 추천 한방 누릅니다!!

Jade 2007-10-29 23:53   좋아요 0 | URL
아 다락방님 부끄러워요 +_+ 추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