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무슨 고민 있으세요?
-
-
천만번 괜찮아 - 박미라 감정치유 에세이
박미라 지음 / 한겨레출판 / 2007년 6월
평점 :
저자 박미라씨에 대해 아는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한겨레 상담코너 '형경과 미라에게'를 김형경씨와 같이 하고있다는 것 정도. 책을 집어든 이유는 순전히 '천개의 공감'을 읽고 느꼈던 따뜻한 공감 때문.
김형경씨의 책과 이 책은 큰 줄기면에서는 거의 유사하다. 인간관계에 좌절하는 상담글과, 자신을 사랑하라는 따뜻한 충고. 상담자의 상담글을 세세히 읽고 그 감정에 충분히 공감한 후에 건네는 말들. 현재 마음을 흔드는 상황에 휩쓸리지 말고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라는, 희생하지 말고 스스로를 위해 살라는 말이 답변들의 주 요체다.
자신의 고민을 털어놓는 진지한 상담글들을 보면, 어느새 상담자가 선정하는 단어 하나하나에도 그 사람의 현재 상황이 함축적으로 담겨있는듯한 느낌을 받는다. 은연중 자신을 드러내는 닉네임까지. 특히 여자의 경우 불안이나 분노를 제 3자에게 드러내면서 해결하는 경우가 많은데 아마 뿌옇게 드리워 있던 감정들을 특정단어로 표현하며 경계를 지우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털어놓기'는 대단한 사회적 행위이자 적절한 치유행위가 될 수 있다. 제 3자의 입장에서 낯설게 자신을 들여다보는 것 역시 - 자기자신과 대화하기, 일기쓰기 등 - 지나간 날들에 새로운 의미를 줄 수 있는 치유행위다.
지금 당장 나를 휘어감고 있는 문제와는 상관없어 보이는 상담글에서 불현듯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기도 하고, 내 마음과 비슷한 변화를 겪는 글을 보며 내심 혼자만 이런게 아니라는 위안을 얻기도 한다. 사람은 자신보다 불행한 사람을 보며 스스로의 슬픔을 위로한다는 말이 있다. 남의 불행에서 위안을 얻는것은 잔인해 보일수도 있지만 모두가 나름의 아픔을 가지며, 그러면서도 열심히 살아가는 모습에 어떤 동질감이나 위로를 얻는 것이리라. 혹은 상대방의 아픔이 나에게 온전히 전해오지 않듯, 우주보다 아픈 나의 아픔도 다른사람에겐 그렇지 않다는 것을 깨달으며 자신의 슬픔을 객관화 하는 것인지도. 더 나아가 슬픔마저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슬픔을 겪어내는 자기 자신을 온전히 받아들이며.
오늘밤엔 나 자신에게 편지를 써보리라.